올해도 어김없이 우리금융 민영화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2001년 3월 12조 7천여억 원을 투입해 우리금융을 설립한 후, 5조 6천여억 원을 회수했다. 남은 7조 1천여억 원을 회수하려고 이명박 정부는 세 번이나 매각을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우리금융의 시가총액은 10조 원 정도다. 정부는 지분을 일괄 매각해 최대한 비싸게 팔려고 한다.
외환은행을 인수했던 론스타의 선례 때문에 해외자본에 우리금융을 팔아치우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그래서 정부는 KB금융이 인수합병하기를 바란다. KB금융은 사내 유보금만 5조 원을 가지고 있다.
이미 1월 말 우리금융 회장 이팔성이 ‘우리금융 일괄 연내 매각’ 가능성을 언급했다. 전 금융위원장 김석동은 2월 22일 한 인터뷰에서 “KB금융이 우리금융을 인수하면 효율적인 은행이 탄생할 것”이라고 했고, 25일 이임식에서도 “우리금융 민영화는 대한민국 금융산업의 지형을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게다가 ‘각종 복지 공약을 증세 없이 실현해야 하는 박근혜 정부 입장에서 우리금융 민영화는 재원 확보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 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공적자금 회수의 명분과 함께 7조~8조 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박근혜 정부는 하루라도 빨리 우리금융을 민영화하고 싶을 것이다.
문제는 양 금융의 합병으로 수많은 노동자가 은행을 떠나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KB국민은행에 2만 2천여 명, 우리은행에 1만 5천여 명의 노동자가 있는데, 합병을 하면 8천~1만 명이 해고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미 노동자들을 쉽게 정리해고할 수 있게 법도 보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노동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우리금융 노조는 현재 매각에 반대하고 있다. 물론, 우리금융 노조 지도부가 제시하는 우리사주와 국민주 모집 등의 대안이 효과적일지는 의문이지만 말이다.
KB금융 노조도 1월 30일 대의원대회에서 ‘구조조정 시 총력 투쟁한다’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우리금융 노조와 연대한다’고 결정했다.
2010년 말 KB금융지주 회장 어윤대의 칼날 아래 KB국민은행에서 3천2백44명이 구조조정된 바 있다. KB금융과 우리금융이 합병한다면 더 큰 고통이 이어질 것이다.
수많은 노동자들을 직장에서 쫓아내고, 금융 공공성을 훼손하는 우리금융 민영화를 막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