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구·울산에서도:
박근혜 퇴진 집회가 규모있고 힘차게 치러졌다
〈노동자 연대〉 구독
11월 26일에도 지방 주요 도시들에서 박근혜 퇴진을 위한 집회가 열렸다. 서울에서 1백50만 명이 모였는데도, 주요 도시들에서 수만 명이 집회와 행진을 벌였다.
이런 양상은 박근혜 게이트의 충격이 크긴 했지만, 단순히 부패의 망칙한 모습에 화난 것이 아님을 보여 준다. 표출되는 분노가 꽤 오랫동안 쌓여 온 것이고, 불평등한 삶의 현실과 관계 있는 것이다. 또한 지방에서도 조직 노동자들이 집회와 행진에서 비중있는 구실을 하고, 또 민주노총이 앞장서 박근혜 퇴진 투쟁을 하는 것에 지지도 상당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새누리당의 아성으로 알려진 대구, 부산, 울산 등에서도 대규모 집회가 열린 것은 정치 상황이 짧은 기간에 꽤 크게 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이 지역들에서도 박근혜 지지율이 한자릿수다. 이 지역들에서는 이미 총선 때에도 이반이 두드러졌다. 이번 주에는 세 곳의 집회 취재기를 〈노동자 연대〉 독자들이 보내 왔다.
15만 명이 모인 부산
민주노총의 투쟁 계획을 참가자들이 환영하다
박준희
박근혜 퇴진을 위한 26일 부산 집회는 15만 명이 모였다
민주노총 집회가 진행될 때 이미 본대회 예정 장소인 서면 태화 로터리가 가득 찰 정도로 사람들이 왔다. 본대회가 시작하기도 전에 대략 10만 명이 모인 지난주와 비슷하게 모인 것이다.
사전 집회에서 61일째 파업 중인 철도노조 김재일 부본부장은
민주노총 김재하 부산본부장은
민주노총의 집회가 힘차게 진행되는 동안, 벌써 서면을 가득 메운 사람들은 민주노총의 파업 투쟁 결의 발언에 곳곳에서 환영과 응원의 박수를 보냈다. 민주노총이 중심에서 대열을 이끄는 모습은 고무적이었다.
쌀쌀한 날씨였지만 본대회는 발 디딜 틈도 없이 들어찬 가운데 진행됐다.
부산대학교 유영현 총학생회장이 동맹휴업 계획을 발표해 환영 받았다.
대구에서도 커지는 박근혜 퇴진 목소리
김미경
11월 26일 대구 집회는 지난주보다 곱절이나 늘어 5만 명이 모였다. 다들 고무된 분위기였다. 부모와 아이들이 손잡고 나온 가족들, 동호인들과 나온 듯한 직장인들, 친구들끼리 온 청소년들, 중년 남녀들, 젊은 연인들, 할아버지, 할머니 등 다양한 사람들이 왔다.
요즘 대구에서는 분위기 변화를 많이 느낄 수 있다. 나는 이날 시민실천단에 자원해 집회 운영을 도왔는데, 어떤 분이
독재는 했지만 경제는 키운 박정희 딸이라서 찍었다는 한 할아버지도 내게 말을 걸었다. 나는 박정희 때부터 있었던 대기업 위주의 경제 정책들, 노동자들 쥐어짜기가 지금 여러 문제들을 낳았다고 설명하자 수긍했다. 요즘은 이렇게 정치 토론이 된다.
24일
결과는 놀라웠다. 우리는 촛불 6백 개를 준비하고 손 팻말 1천 장을 준비했는데, 촛불은 모자랐고, 팻말은 동이 났다. 청소년들이 많이 왔는데, 학원도 안 가고 왔다는 청소년들도 있었다. 초중고생들과 청년, 중년 등 10명이 자유 발언을 했다. 달서구의 번화가인 상인동 일대를 행진했다. 우리 동네를, 평소 아침저녁으로 차를 타고 다녔던 차도를
내 20대 초반은 박정희 유신 독재에 맞서 싸우며 보냈다. 내년이면 예순이 되는 지금은 그 딸에 맞서 싸우고 있다. 이제는 끝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조직노동자들이 주도해 집회와 행진을 벌인 울산
김지태
19일 7천 명이 모였는데, 26일에는 8천여 명이 모였다. 전체 대열의 절반가량이 조직노동자들이었다. 일주일 전에는 개별로 참가한 민주노총 노동자들이 이날은 노조 깃발을 들고 조직적으로 참가했다. 현대중공업 노동자들도 그랬다. 노동자들은 행진도 앞장서 이끌었다. 이 밖에도 진보
많은 청소년과 청년들이 부정 부패에 대한 분노를 표현했다. 한 중학생은
금속노조 울산지부 강수열 지부장은
금속노조 현대중공업 일반직지회 우남용 지회장도 큰 박수를 받았다.
현대중공업 노조의 한 조합원은
탄핵을 바라보는 시각에는 논쟁적 대목도 있었다. 그럼에도 운동을 지속하자는 주장은 같았다.
나는 자유발언을 신청해 탄핵에 기대기보다는 즉각 퇴진을 위한 운동의 지속을 강조했다.
윤종오 국회의원은 의견이 좀 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