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대학 투자 - 공짜는 없다
〈노동자 연대〉 구독
주류 언론들은 4백18억 원을 기부한 사람에게 무례한 행동을 했다며 이건희를 저지한 고대 학생들을 비난하고 있다.
역대 군사정권들과 유착하고, 편법으로 탈세하고, 노조 만들려는 노동자들에게 온갖 탄압을 자행하면서 삼성의 돈이 만들어진 것이라는 것을 제쳐두더라도 삼성의
대기업들의
대학에 많은 돈을 들여 건물을 지어 주는 기업들은 대학과 함께 산학연계도 강화한다. 예를 들어, 이번
이것은 대학 교육이 기업의 요구에 더욱 깊숙이 종속된다는 것을 뜻한다.
포스코는 서울대
산학협동은 기업들이 기술개발 비용을 절감하는 한 방법이고, 강의실 건립 등은 대학과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마케팅
이런 투자 때문에
인문
인문교육을 강화하겠다는 학교가 순수학문과는 아무런 관련도 없는 이건희에게, 순수학문 교수들과 아무런 상의도 없이 철학박사 학위를 줄 수 있는가?
결국 어윤대 총장이 말한
그러나 일부 학생들은 기업이 대학에 건물 등을 지어주는 것이 나쁜 것만은 아니지 않는가 하고 생각한다.
물론 이런 생각은, 정부의 대학 지원이 턱없이 모자라고 재단의 대학 투자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그렇게 해서라도 열악한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픈 바람일 것이다.
그러나 기업으로부터 돈을 받는 것이 학생들의 부담을 줄여 주는 것도 아니다.
어윤대 총장은 정부의 대학 지원을 촉구하고 기업들의 투자를 끌어내기 위해 온갖 방법을 쓰면서도,
이것은 근본으로 대학에 경쟁을 강요하는 신자유주의적 교육 개편 때문이다.
이런 식이라면 정부 지원과 기업 투자가 늘어난다 하더라도 대학은 끊임없이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은 줄어들 수가 없을 것이다.
또, 기업이 요구하는 더 나은
따라서 기업의 대학 투자를 지지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아무런 목적 없는
게다가 이런 기부는 대학 교육 자체를 더욱 철저히 기업에 종속시키며, 정부의 대학 지원을 방기하도록 하는 방편도 되고 있다.
기업의 대학 투자를 기대하기보다는 OECD 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