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0 비정규직 철폐 전국노동자대회:
문재인 ‘노동 존중’ 파탄에 분개한 노동자 8만 명이 거리로 나오다
〈노동자 연대〉 구독

6월 30일 문재인 정부 들어 가장 큰 규모의 노동자 집회가 열렸다. 이날 민주노총 주최로 열린
이날 집회는 문재인 정부의 노동 정책에 대한 강도 높은 규탄이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연단과 대열 모두에서 노동자들은
문재인 정부와 집권 여당은 지난 5월 최저임금 삭감법 강행에 이어, 지방선거 전후로 신자유주의 노동 착취
이날 집회는 또, 문재인 정부하에서도 노동자 운동이 저항의 주축이라는 점을 보여 줬다. 특히 지난 1년간 크고 작은 투쟁을 지속해 온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집회 대열의 상당수를 차지했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전체 대열의 절반 가까이를 이뤘다. 발전
“노동자 삶은 바뀐 게 없다”
전국노동자대회 본집회와 그에 앞서 열린 8개의 사전 집회들에서 문재인 정부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최저임금 삭감법 통과,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약속 파탄에 대한 규탄이 이어졌다.
안명자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본부장은 정부의
박금자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위원장은 최저임금 삭감법 때문에 17만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김수억 기아자동차 화성 비정규직지회장은 말했다.
노동자들은 노동기본권 보장에서도 진전이 없다고 성토했다. 특수고용 노동자들의 노동권 인정 요구는 아직도 외면받고 있다. 청와대는 전교조 법외노조 행정 조처 폐기 불가를 표명했다.
조창익 전교조 위원장은

하반기 총력 투쟁
장시간 노동에 신음해 온 노동자들은 노동시간 단축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희병 공공운수노조 한국가스공사지부장은 주 52시간제 시행조차 유예한 정부를 규탄하며 말했다.
돌봄, 재가요양, 보육, 장애활동보조 등 사회서비스 노동자들은 사회서비스 공단을 촉구하며,
이주공동행동은 예멘 난민을 환영한다는 내용의 리플릿을 반포하고 모금 운동을 했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하반기 투쟁을 선언했다.
노동자들은 청와대 인근 청운동사무소 방향, 삼청동 총리공관 방향, 종로 도심을 지나 안국동 방향으로 나눠 대규모 행진을 벌이고 집회를 마무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