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츠키 1927~1940: 고전적 마르크스주의 전통을 사수하다》(토니 클리프, 책갈피, 25000원):
“세기의 암흑기”를 비춘 서광
〈노동자 연대〉 구독

국내에 지금껏 번역된 러시아 혁명가 레온 트로츠키의 전기로는 아이작 도이처의 트로츠키 평전 3부작과 트로츠키의 자서전 《나의 생애》
이런 상황에서 토니 클리프의 트로츠키 전기가 국내에 소개된 건 더없이 반가운 일이다. 《트로츠키 1927~1940: 고전적 마르크스주의 전통을 사수하다》는 토니 클리프가 쓴 트로츠키 전기 4부작의 마지막 권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클리프는 2000년에 작고한 영국 마르크스주의자로, 국제사회주의경향의 창립자였다.
이 책은 트로츠키가 1928년 카자흐스탄의 알마아타로 유배된 뒤부터 1940년 멕시코에서 암살당할 때까지, 즉 트로츠키 생애의 후반부를 주로 조명한다. 이때는
트로츠키는 어떤 사람이었는가
아마 수많은 역사적 인물 가운데 트로츠키만큼 극심한 왜곡과 비방에 시달린 사람도 드물 것이다. 그만큼 당시 동
레온 트로츠키는 1879년에 태어났다. 청년 트로츠키는 마르크스주의자가 됐고, 마르크스주의를 받아들인 지 몇 해 만에 당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후진국 문제에 대해 설교하던 정설에 도전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공헌인 연속혁명론을 내놓은 때는 페테르부르크 소비에트 의장으로서 1905년 혁명을 경험한 즈음이었다.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이 벌어져 차르가 타도됐고, 그해 7월 트로츠키는 볼셰비키에 입당했다. 그는 10월 무장봉기를 조직하는 임무를 맡았고 이를 성공시켰다. 적군赤軍을 창설하고 지휘해 내전을 승리로 이끌었고, 소련과 코민테른의 중요한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1923년부터 트로츠키는 러시아에서 스탈린주의 반동에 맞서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1927년에 당에서 제명됐고 1929년에는 아예 소련 바깥으로 추방당했다. 그 후에도 그는 진정한 마르크스주의 전통을 지켜 내고 그것을 혁명적 조직으로 구현하려고 영웅적으로 싸웠다.

트로츠키에게 배울 점은 무엇인가
트로츠키는 나치 독일에 맞서 뛰어난 전략
트로츠키의 비극이라면 위대한 목적과 빈약한 수단 사이의 격차였다. 히틀러가 승리하기 직전에 독일 트로츠키주의자들의 수는 많이 잡아야
트로츠키는 프랑스와 스페인의 혁명적 사건들에 관해서도 탁월한 저작을 내놨다. 이때는 독일과 다르게 코민테른의
트로츠키가 물려준 또 다른 유산은
이것들 말고도 트로츠키의 유산은 이 책을 정독하며 더 풍족하게 가슴에 새길 수 있다. 트로츠키가 당시의 분석과 판단에서 무오류였던 것은 아니다. 저자는 트로츠키의 오류에 대해서도 공정하게 지적하고 저자 나름의 대안도 제시한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트로츠키가 스탈린주의 소련을
저자가 책 끄트머리에 간략히 정리한 트로츠키의 공헌을 인용하며 마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