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민주노동당이 성장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노동자 연대〉 구독
6월 22일 민주노동당 중앙당사에서 열린
이것은 민주노동당에게는 정확한 물음이 아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열우당 지지자 중 한나라당으로 간 경우는 31퍼센트밖에 안 되는데, 대부분 종부세 등 한나라당과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했기 때문이다. 더 많은 경우는 단순히 투표에 기권했을 것이다.
민주노동당이 오른쪽으로 열우당을 이탈한 자들을 붙잡기 위해 애쓸 수는 없는 노릇이다.
안 실장은 이런 물음에서
물론 논리적 근거 개발은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이 해결책의 전부도 아니고 핵심도 아니다. 김종철 서울시장 후보도 선거 공약이 구체적 예산과 추진 일정을 갖춘지를 검증하는 매니페스토정책선거추진본부한테서 좋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냉정하게 말해, 집권 가능성이 없는 당이 포지티브 정책을 내놓는다고 해서 유권자들이 귀를 기울이는 것은 아니다. 차라리 정부와 기성 정당들의 실책을 폭로하고 비판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때로
게다가 기성 정당들은 종종 정책 선거를 자신들에 대한 비판 차단용으로 애용하기도 한다. 오세훈은 TV 토론에서 두 번이나
무엇보다,
지배자들은 대중 투쟁으로 체제가 뒤흔들려 기득권을 통째로 잃어버릴 상황이라야 사회 개혁을 양보할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런 대중 투쟁을 통해 사회의 이데올로기 지형이 좌경화해야 민주노동당은 거대한 지지를 모아 집권할 수 있다. 2004년 총선에서 3~4석을 얻을 것으로 기대했던 민주노동당이 10석을 얻을 수 있었던 것도 수십만 명이 거리로 나선 탄핵 반대 운동 덕분이었다.
대중 투쟁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