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FTA도 신자유주의 협정이다
〈노동자 연대〉 구독
EU의 통상장관 피터 맨덜슨은 지난 4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EU FTA 협상 EU측 수석대표로 내정된 가르시아 베르세로는 의약품 분야에서 비관세 장벽을 없애는 것에 지대한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유럽 다국적 제약회사들은 한미FTA와 동등한 수준의 의약품 시장 개방과 지적재산권 강화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유럽헌법
유럽 자동차업체들은 이른바
결국 한미FTA 협상과 마찬가지로 공공 서비스와 대중의 보건과 환경 보호 문제가 다시 한 번 FTA의 도마에 오르게 됐다.
EU 지배자들의 진정한 실체를 안다면 이건 뜻밖의 일이 아니다. 지금 EU는 신자유주의 정책을 세계에 퍼뜨리는 주요 행위자 중 하나다. 1992년 마스트리흐트 조약은 회원국의 재정적자가 국내총생산의 3퍼센트를 넘지 않도록 강제해 복지예산 축소를 압박했다. 2005년 부결된 유럽헌법에는
이런 정책이 유럽헌법 부결 운동 등 대중적 반대에 부딪히자 이제는 똑같은 내용을 비민주적 국제 통상협정을 통해 관철시키려는 것이다.
물론 EU가 FTA를 추진하는 중요한 이유는 지지부진한 WTO 협상을 대신해 FTA를 시장개방용 무기로 활용하려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FTA는 공공 서비스 사유화를 포함해 유럽헌법이 담으려 한 각종 정책들을 관철시킬 수 있다는
노무현은
그러나 한-EU FTA의 의제인 공공 서비스, 건강권, 환경 문제 등은 유럽과 한국의 노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