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자본주의 활동가 패트릭 본드 인터뷰:
노동계급과 민중의 국제적 연대가 필요합니다
〈노동자 연대〉 구독
최근 한미FTA 협상이 타결돼서 앞으로 공공 서비스가 크게 위협받을 것입니다. 공공 서비스를 옹호하는 것이 왜 중요합니까?
남아공의 사례는 공공 서비스에 이윤 논리를 도입할 때 일어날 일을 잘 보여 줍니다. 빈민을 위한 공공 서비스는 해체되거나 공공 서비스 질은 하락하고 가격은 상승합니다. 따라서 당장 빈민과 노동계급이 고통을 겪습니다.
더 근본적으로, 신자유주의에서 사유화가 하는 구실을 봐야 합니다. 신자유주의 단계 자본주의의 핵심은 모든 것의 상품화입니다. 노동자뿐 아니라 탄소 배출권 거래를 통해 공기조차 상품이 됩니다. 생활의 필수 요소들이 시장 논리에 종속됩니다.
따라서 의료
한국 정부는 한미FTA를 추진하며
일반적으로 말하면, 노동계급과 빈민의 국제주의적 연대가 필요합니다. 이것은 때로는 무역으로, 때로는 무역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버마 민중이 무역 제재를 요청하는 것이 유명한 사례죠.
따라서 이미 대안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라틴아메리카에서 베네수엘라
그러나 더 근본적 대안은 월든 벨로가 말한 자본의
중대한 사회 변화 이후에 민중이 주도하는 진보적 무역 관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무역의 축소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비행기 사용이 줄고 탄소 배출이 줄어 환경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진짜 중요한 점은 노동계급과 민중 운동의 국제주의를 지속해 남반구와 북반구의 운동이 반자유무역 투쟁의 전략과 대안 ― 산업이 좀더 고르게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게 하는 ― 을 스스로 결정하는 것입니다.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좌파 성향 정부들이 그런 대안을 협상중이죠. 따라서 우리는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라틴아메리카 노동 대중이 그런 대안을 시험해 봐야 합니다. 대안을 선택할 때 이 점이 가장 중요한 기준일 것입니다. 자본의 탈세계화와 민중의 세계화를 추구할 때 어떤 무역 관계가 그런 투쟁을 고무할지는 구체적 상황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당신은 대안세계화 운동을 전략에 따라 구분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설명해 주십시오.
세계사회포럼과 대안세계화 운동에는 네 가지 서로 다른 입장이 있습니다. 먼저 아프리카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인 사미르 아민이 주도한
두번째는 자율주의 전통입니다. 자율주의는 멕시코 치아파스의 사파티스타 투쟁, 공장 점거 투쟁에 연대하고 있는 아르헨티나 피케테로스 투쟁, 브라질 무토지농업노동자 운동 등을 고무했습니다. 남아공 소웨토의 일부 자율주의 활동가들은
자율주의자들의 투쟁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충분히 오래 지속되지도, 다른 운동과 연결되지도 못했습니다. 최근의 대표적 사례로 멕시코 오아하까 투쟁이 있습니다. 오아하까 시
세번째 입장은 앞에서 말한 사례들 같은 투쟁들을 바탕으로 변혁적 정당 건설 전략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만약 운동이 국경을 초월한 연대를 통해 그런 정당을 건설할 수 있다면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저는 네번째 입장입니다. 기존의 반자본주의
에이즈 환자들에게 다국적기업의 고가품이 아니라 값싼 복제 약품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해 온 동지들은 지금 남아공의 다른 운동과 연대해서 사람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약품이 무료로 공급돼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또, 국경을 초월한 운동에서 국제주의적
만약 세계사회포럼이 그런 공간이 된다면 크게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월든 벨로가 지적했듯이 세계사회포럼이 그런 구실을 하지 못한다면 정치적 동력을 잃을 것입니다.
어쨌든 그럴 수 있다면 이는 새로운 인터내셔널을 건설하는 기초가 될 것이고, 다양한 활동과 투쟁을 크게 전진시킬 것입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미래 사회주의 사회를 향한 이행기 강령을 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당신은
자유무역 논쟁을 통해
제가 보기에 이는
반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