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민주화 인사 석방과 민간인 군사재판 반대 기자회견:
“무바라크 독재 정권의 끝이 멀지 않았다”
〈노동자 연대〉 구독
최근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 정부는 야당 탄압을 강화하고 있다. 자유주의 야당인 알가드당 대표 아이만 누르 박사를 투옥했고, 특히 하원에 80석 이상의 의석을 가지고 있는 이집트 최대 야당인 무슬림형제단을 집중적으로 탄압했다. 현재 무슬림형제단 활동가 2백20여 명이 구금돼 있고, 이 중 40여 명이 군사재판에 회부된 상태다.
지난 5월 초 이집트 민간 법정 판사가 민간인 군사재판 회부를 불법이라고 판정했음에도 무바라크 정부는 무슬림형제단 간부에 대한 군사재판을 강행하려 한다.
이집트 운동은 이런 탄압에 맞서고 있다. 6월 2일 이집트 카이로 시내 변호사회관 앞에서 다양한 단체 소속 활동가들 2백50여 명이 민간인 군사재판 회부와 야당 탄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날 집회에서 이집트 민주화 운동인 키파야 운동은 다음 달 상원 선거를 보이콧하는 시민불복종 운동을 벌이자고 호소했다.
이집트 운동의 저항에 호응해 한국에서도 6월 4일
첫 발언에서 김은진 민주노동당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위해 이집트 키파야 활동가이자 저명한 블로거인 호쌈 알-하말라위가 연대 메시지를 보냈다.
오창익 인권실천시민연대 사무국장은 민간인 군사재판 회부의 부당성을 폭로했다.
〈맞불〉기자 김용욱은
이집트 대사관은 기자회견문 접수조차 거부했지만 이날 기자회견은 성공적이었다. 참가자들은 시종일관 힘차게 구호를 외치고 결의를 다졌다. 중동에서 이집트가 차지하는 정치적 위치를 볼 때 이집트 운동을 지원하는 국제 연대 활동은 계속 확대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