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진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 에세이:
이명박의 “경제살리기”가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유
〈노동자 연대〉 구독
이명박은
자본과 노동 간의 계급적대와 계급투쟁을 특징으로 하는 자본주의 계급사회에서 이른바
자본주의 역사에서
김대중
이명박의
한국경제의 연평균 GDP 성장률은 IMF 위기의 해였던 1998년 6.9퍼센트 감소해 뒷걸음질 친 후 김대중 정권 동안
물론, 김대중
그러나 노무현 정권 시기에 투자가 부진했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한국은행 통계를 보면, 투자율
〈그림〉에서 보듯이, OECD 나라들의 GDP 구성의 특징은 높은 투자가 아니라 낮은 투자, 그리고 높은 수준의 가계소비가 장기적으로 안정돼 있다는 점이다. 반면, OECD 7대 강국을 지향한다는 한국경제의 GDP 구성은 여전히 극단적인 과잉투자와 과소소비가 특징이다. OECD 나라들의 경우 GDP에서 가계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0~2004년 평균 61.6퍼센트 수준인 것에 비해, 같은 시기 한국의 그것은 52.7퍼센트로 9퍼센트 포인트 가까이 낮았다. 향후 한국이 OECD 나라들 경제의 평균치에라도 접근하려면, 이명박이 주장하듯 투자를 증대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투자를 줄이고 소비를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저투자? 한국의 투자율은 OECD 1위 수준
곧 출범할 이명박 정권에게 제기될 진정한 도전은, 이미 죽어 있던 경제를 살리는 것이 아니라 여태까지는 그럭저럭 살아 온 한국경제를 당장 들이닥칠 세계경제 위기의 소용돌이에서 어떻게 말 그대로 죽이지 않고 살려내느냐일 것이다. 이명박 정권은 이 시험에서 필경 실패할 것이다. 무능하기 짝이 없던 노무현 정권보다 더 무지할 뿐 아니라 임박한 세계경제 위기에 전혀 준비가 안 돼 있기 때문이다.
무능했던 노무현 정권조차 출범 초기에는 독일 모델, 스웨덴 모델, 네덜란드 모델, 유연안정성 모델 운운하면서, 북유럽 선진 복지국가를 벤치마킹하는 시늉이라도 했다. 노무현 정권은 임기 내내 동북아 금융허브, 인적자원개발, 혁신클러스터, 혁신도시, 국가균형발전, 비전2030, 사회투자국가, 사회적 자본, 양극화 해소, 동반성장, 금융감독, 시장규율 강화, 한미FTA 등등으로 좌충우돌했다
이에 비해 최근 인수위 논의에서 드러나고 있는 이명박 정권의 경제정책들에는 새로움이 전혀 없다. 이명박은 김대중
현재 한국자본주의의 주된 모순은 생산요소 투입의 부족, 즉 투자의 부족이 아니라 정반대로 투자의 과잉, 과소소비, 무엇보다 낮은 이윤율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명박 정권의 투자 촉진 정책은 오히려 과잉축적을 더욱 격화시켜 곧 들이닥칠 경제위기의 규모를 키울 것이다.
이명박 정책은 경제 위기를 재촉하고 키울 것
2008년 한국경제가 심각한 위기에 빠질 가능성은 매우 높다. 지난해 여름부터 불거지기 시작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사태가 새해 벽두부터 세계경제 위기로 확산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지난 1990년대 이후 장기불황에서 헤어나고 있지 못한 한국경제에 큰 타격을 가할 것이다. 이미 극심한 내수 부진에 수출 급감
이명박 정권이 국민 대다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행하려는 경부운하 건설은 사상 유례없는 과잉투자와 부동산거품으로 귀결돼 아마도 OECD 나라들 중 최대의 경제 위기로 폭발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위장전입
다가올 경제 위기 국면에서 이명박 정권과 지배계급은 자본가의 경제, 재벌 경제를 살려내기 위해, 지난 1997~98년 IMF 위기 때처럼 다시 새로운 버전의
물론 노동자
이 점에서 지난 대선 국면에서 일부 진보진영까지 이명박의
다가올 경제 위기와 함께 이명박으로부터 등을 돌릴 노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