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21세기 대공황과 마르크스주의》(정성진 엮음, 책갈피):
마르크스주의로 세계 경제 위기 설명하기

“오바마의 경기부양책이 세계 경제를 살릴 수 있을까?” “중국이 미국을 대신해 세계 경제성장의 견인차가 될 수 있을까?” “케인스주의가 1930년대 대공황을 끝내고 전후 호황을 가져왔는가?” “금융자본이 경제 위기의 주된 원인인가?”

현재의 경제 위기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물어보고 싶은 이 질문들을 화두로 한 책이 나왔다. 경상대학교에서 마르크스주의 특성화 대학원인 정치경제학과의 학과장을 맡고 있는 정성진, 계간지 《인터내셔널 소셜리즘》의 편집자 크리스 하먼, 제2차세계대전 이후 세계 경제에 대한 탁월한 분석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 로버트 브레너 등의 논문과 대담을 담고 있는 《21세기 대공황과 마르크스주의》(책갈피)가 그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케인스주의가 1929년 대공황을 끝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크리스 하먼은 이런 믿음이 잘못된 것임을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다. “케인스는 노동자들의 임금이 하락하면 문제가 저절로 해결될 것이라고 주장한 경제학자들을 통렬하게 논박했지만, 그 자신의 제안도 대공황을 끝낼 수는 없었다. … 그는 자본가들이 단기적으로 이윤에 타격을 줄 것처럼 보이는 어떠한 정책에도 등을 돌릴 것임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196쪽)

1930년대 당시 경제를 회복시키려면 정부 지출이 56퍼센트 늘어나야 하는데, 케인스의 ‘점진주의’와는 다른 이런 정부 지출은 자본 도피, 수입 증대, 경상수지 적자, 금리 폭등으로 이어질 것이 분명했다. 그래서 크리스 하먼은 아이켄그린의 말을 인용해 1930년대 대공황을 끝낸 것은 “케인스의 공로라기보다는 히틀러의 공로”라고 지적했다.

1930년대의 상황과 뉴딜정책의 실패, 그리고 결국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대공황이 끝났다는 역사적 사실은 오바마 정부가 추진하는 새로운 뉴딜정책의 운명을 예상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경제위기가 터지면서 연준(FRB)이 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낮추고 부시와 오바마가 부실 금융기관과 기업에 천문학적인 돈을 퍼붓고 있지만 위기는 진정되지 않고 있다.

이번 위기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한 뉴욕 대학의 누리엘 루비니 교수는, 앞으로 주택 8백만 채가 더 압류될 가능성이 있는데, 2009년 1월까지 압류된 주택 건수가 1백만 채에 지나지 않아 이번 위기가 아직 반환점도 돌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있다.

위기가 더 심각한 수준으로 전개되고 또 미국발 위기가 전 세계를 거쳐 다시 미국에 영향을 미치자 오바마 정부는 시티그룹과 AIG를 국유화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금융 사회주의’라고 하지만 실상은 국가가 경제에 전격 개입하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위기가 심각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하먼은 1930년대의 대공황과 비교해 오늘날의 위기에는 “정부 지출 비중이 더 커졌고 위기에 대응해 정부와 중앙은행이 재빨리 돈을 풀 태세가 돼 있”기 때문에 “일정선 밑으로 경제가 추락할 수 없게 막아 주는 안전판”(199~200쪽) 구실을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1930년대와는 달리 주요 기업들이 훨씬 비대해졌고, “이들을 구제하기 위해 각국 정부가 치러야 하는 비용도 커졌다”(200쪽)고 그는 지적한다. 이 때문에 정부의 경제 개입이 경제를 회복시키기는커녕 구제금융 자금이 실물경제로 방출됨으로써 인플레를 야기하고 뒤이어 더 심각한 경기침체를 불러올 수도 있다.

이번 위기에 대처하는 데 중국이 뭔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로버트 브레너의 말을 곱씹어 봐야 한다. 그는 “중국의 위기는 보통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할 것”(296쪽)이라고 예상하는데, 그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는 중국이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의 운명에 떼려야 뗄 수 없을 정도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고, 둘째는 중국의 과잉설비 문제다. 로버트 브레너는 “중국의 거품이 꺼지면 소비 수요가 직격탄을 맞을 것이고 금융 위기가 발생할 것”(297쪽)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정성진은 이번 위기가 “1970년대 이후 이윤율 장기 저하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사태”(274쪽)로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마르크스의 공황론, 특히 《자본론》 3권의 이윤율 저하 이론, 잉여가치 생산과 실현의 모순 이론, 산업순환 과정에서 실물 자본과 화폐자본 축적의 모순 이론, 가공자본 이론 등이 오늘날 세계 경제 위기를 설명할 수 있는 강력한 이론적 무기”라고 주장한다.

이번 위기의 발단이 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추적한 장시복의 글도 현 위기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또 현재 위기를 이윤율 저하론의 관점에서 볼 수 있는지를 두고 벌인 크리스 하먼과 짐 킨케이드의 논쟁도 읽어볼 만하다.

현재의 경제 위기를 분석하는 데서 이 책이 지닌 가장 중요한 가치는 이번 위기가 “금융 규제의 미비나 금융자본의 탐욕에서 비롯한 것이 아니라 체제 자체의 성격에서 비롯한 것”(211쪽)임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 책은 현 위기의 대가를 대중에게 떠넘기려는 지배자들의 시도에 저항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이 위기에 대한 대안을 갈구하는 사람들에게 길잡이가 돼 줄 것이다.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