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편지
〈시크릿 가든〉과 환상적 리얼리즘
〈노동자 연대〉 구독
실재
이태리 장인이 한 땀 한 땀 만든 파란색 운동복, 전혀 안 멋있다. 김주원
나이 많은 부하 직원에게 악다구니 하는 젊은 사장. 아침 출근길에 전 직원이 줄 서서 기다리며 인사하는 걸 당연한 듯 무시하는 사장. 좋아하는 여자의 찢어진 가방이 자기 체면을 구긴다는 남자. 그래서 강제로 옷 사주면서 입으라는 남자. 그 여자가 자기를 이해 못한다며 적반하장 화내는 남자. 제 엄마에게 유산 꼭 물려달라고 떼쓰고 협박하고 거래하는 다 큰 아들.
고용 승계를 요구하는 직원을 폭행하고 매값이라며 2천만 원 건넨 최철원과 전혀 다르지 않은 자다.
환상
당신은 부자들의 비밀 정원에 갈 수 없다. 가려면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김주원 같은 부자가 당신을 생각할 때다. 그와 함께 나란히 정원을 거닐 수 있다. 하지만 그때 당신의 실존은 거기에 있지 않다.
다른 하나는 당신과 김주원의 영혼이 서로의 몸에 바뀌어 들어갔을 때다. 당신은 김주원으로 그 정원에 갈 수 있다. 영화에서나 가능한 일!
드라마가 그린 김주원은 사실 전혀 사랑스런 남자가 아니었다. 나는 작가와 제작진이 부자와 가난한 자들이 사실 얼마나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지 드러내려고 이 드라마를 만들었는지 아닌지 알 지 못한다. 다만, 김은숙 작가가 전보다 더
〈파리의 연인〉에서 김은숙 작가는 마지막 반전을 통해 드라마의 모든 이야기가 사실은 여주인공 강태영
반대로 이번에도 비슷한 결말을 바랐던 사람들은 톡톡히 실망한 것 같다. 하지만 결말이 어찌됐든, 이 드라마는 부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살아가고, 생각하는지 드러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조금은 부자들을 우스꽝스러운 존재로 그리며 비아냥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