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추천 외부 글·영상
무상의료운동본부 성명
규제 샌드박스 이용한 원격의료 중단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이 글은 무상의료운동본부가 6월 26일
문재인 정부의 산업통상자원부가 현행 의료법의 금지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원격의료를 임시허가와 실증특례를 이용해 시행한다. 작년 1월부터 시작된 규제 샌드박스 제도가 현행 의료법을 허무는 수단이 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코로나19 감염병 사태 이후 친기업 행보를 더욱 더 노골화하고 있다. 250조 원에 이르는 천문학적 재정을 기업주, 투자자, 채권자들의 손실 보상을 위해 아무런 조건없이 지원하면서도, 최대 연 1조7천억 원밖에 소요되지 않을 상병수당 도입 요구에는 콧방귀도 뀌지 않고 있는 것이다. 상병수당 도입이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확산을 막는 데 필수적인 제도인데도 말이다.
그 필요성이 입증되고 무엇보다 절박한 요구인 공공의료와 인력 확충에 대한 재정 투입 계획도 없다.
이번에도 정부
정부는 중동 국가에서 건설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약 60여 명 발생했다며,
정부는
㈜라이프시맨틱스라는 비대면 진료 관련 온라인 플랫폼 기업이 여기에 참여하는 것을 봐도 알 수 있다. 이 기업의 송승재 대표는 문재인 정부의
재외국민들은 국내 건강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다. 그렇다면 이들에 대한
㈜네오펙트의
㈜네오펙트가 만든 뇌졸중 환자 손 재활 기기인
문재인 정부는 얼마 전 휴이노의
정부와 청와대는 코로나19로 불가피하게 허가했던 전화상담진료 26만 건이
코로나19 대유행이 멈추지 않고 있고, 기업들의 이윤 활동이 제약된다는 이유로 방역도 느슨해졌다. 환자가 늘어나면 병상과 중환자실이 부족해지고, 의료진들의 피로도가 누적돼 번아웃되고 있다는 보도도 줄을 잇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는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 계획이 없다. 재정을 우선적으로 공공의료와 인력을 확충하고, 확진자들과 아픈 사람들이 돈 걱정 없이 치료받을 수 있도록 상병수당을 도입하는 데 써야 한다. 노동자들과 영세 자영업자 등 서민들의 생계도 위협받고 있다. 이들을 구제하는 데 우선적으로 재정을 투여해야 한다.
경제 활성화가 코로나19를 막아주지 않는다. 거꾸로 코로나19가 경제활동을 어렵게 한다. 무엇이 우선돼야 하는지 기업의 이윤을 앞세우지 않고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답은 명확하다.
문재인 정부는 의료 산업화
2020년 6월 26일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
가난한이들의 건강권확보를 위한 연대회의,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원문 보기: 규제 샌드박스 이용한 원격의료 중단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