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도가니〉 파문:
폭력과 비리의 도가니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노동자 연대〉 구독
광주 인화학교 농아원생들을 상대로 자행된 끔찍한 만행들이 영화 〈도가니〉를 통해 폭로됐다. 광주시청, 시교육청, 검찰, 사법부 등까지 연결된 더러운 연결망이 드러나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2006년

사건 초기 국가인권위의 권고로 이사 네 명이 해임됐지만, 법원은 학교 측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였다. 학생들이 항의 표시로 교장에게 밀가루와 계란을 던졌을 때, 검찰은 학생 16명을
광주시청, 시교육청, 법원, 검찰은 성폭력 문제에 무능하게 대처했던 것이 아니라, 대책위의 인화학교 정상화 요구를 적극적으로 방해
새빨간 거짓말
이것은 인화학교만의 문제도 아니다. 1996년 평택 에바다, 2006년 성람재단 등 장애인 복지시설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친인척 관계로 맺어진 세력들이 주요 보직을 독차지하면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둘러왔던 것이 폭로됐다. 그때마다 정권은
이것은 이 나라에서 국가가 장애인들을 민간 시설에 수용한 뒤 운영비만 지원하는 정책을 취해 왔기 때문이다. 장애인들을 시설에 수용하면 그들이 사회로 나와서 일하고 교육받을 수 있도록 건물 구조, 대중교통, 노동 조건, 교육 제도 등을 바꾸지 않아도 된다. 인화학교 관계자가 최근 국정감사에서 성폭력 직원을 다시 채용한 것이
국내 많은 장애인 복지시설들은 한국전쟁 이후 외국의 원조 단체나 선교 단체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시설들은 수십 년 동안 국가 보조금으로 운영비를 충당하면서도, 사유재산이라는 이유로 설립자의 후계자들이 운영한다. 그래서 장애인 복지시설을 물려받은 이들은 마음만 먹으면 수억에서 수십억 원에 이르는 국가 보조금을 남용하면서 지역 유지 행세를 할 수 있다. 이렇게 국가와 시설주가
최근 인화학교 대책위는 단지 폐교만이 아니라 사회복지법인 취소를 요구하고 있다. 광주시청 역시 여론의 압력 때문에 폐교 후 법인을 취소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과거 장애인 시설에서 문제가 폭로돼도 관계자 몇 명만 처벌받을 뿐 그들의 일가 친척이 포진한 법인은 그대로 남아 시설을 계속 운영하는 일이 흔했는데, 이를 막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법인이 실제로 취소될 때까지 아래로부터 압력이 지속돼야만 한다.
장애인 수용시설이 종종 비리의
공공기관과 공기업, 사내유보금을 수백조 원 쌓아 둔 대기업부터 법이 정하는 만큼이라도 장애인 고용을 늘리도록 강제해야 한다.
노동자 운동은 이런 장애인 운동과 요구를 적극 지지하고 연대해야 한다. 이 나라에서 장애인들의 집단적이고 사회적인 투쟁은 1987년 말에 시작됐는데, 1987년 6월 항쟁과 7~9월 노동자 대투쟁으로 정치적 공간이 열리고 싸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기 때문이었다.
근본적으로는 교육을
그러나 장애인이 불편하고 고통스런 삶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결코 불가피한 일이 아니다. 이라크에 참전했다가 팔다리를 잃은 한 미군이 최첨단 기술 덕분에 수영
경쟁적 축적이 아니라 인간의 필요에 따라 자원과 서비스를 배분하는 사회에서만 장애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