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6일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와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4·11총선 야권연대에 합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정희 대표는 “전국적이고 포괄적 야권연대가 실현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목표로 3월 8일까지 지역구 후보 선정 방식과 정책 합의를 마무리하겠다는 것이다.
통합진보당 안에서는 이런 ‘묻지마’ 야권연대 방침을 놓고 논쟁이 거세다.
3월 4일에는 서울·인천·경기 지역 예비 후보 33명이 지역구 거래 방식의 야권연대 방침에 반대하는 긴급 성명을 열었다.
3월 5일에는 서울 중구 김인식 후보, 서울 서초을 김어진 후보도 전 지역구 단일화 방침에 반대하며, 진보적이거나 개혁적 후보 사이에서만 야권연대를 해야 한다는 논평을 냈다.
진보의 정체성과 노동 중심성을 지키려는 사람들(약칭, 진노사)’도 성명을 발표해 ‘묻지마’ 야권연대를 비판하며 진보적이고 선별적이며 민주적 절차를 통한 야권연대 방침 결정을 요구했다.
청년비례 경선 ‘위대한 진출’에 참여 중인 김지윤 후보도 “야권연대 회담을 앞두고 이정희 대표님께 드리는 글”을 발표해 전면적 야권연대에 비판적의 의견을 제시했다.
아래는 김지윤 후보의 공개 편지 전문이다.
야권연대 회담을 앞두고 이정희 대표님께 드리는 글
3월 6일, 야권연대 회담이 있을 예정이라고 들었습니다. 야권연대 최종 협상을 앞두고 ‘묻지마 야권연대’는 안 된다는 점을 호소 드리고자 합니다.
그동안 야권연대 협상 과정은 통합진보당이 민주통합당의 무공천 선거구를 양보받고, 나머지 선거구에서는 통합진보당 후보가 사퇴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진보적 가치와 요구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진 ‘묻지마 야권연대’였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제가 야권연대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아닙니다. 새누리당이 어부지리를 얻게 해서는 안 된다는 진보 염원 대중의 정서에 비춰볼 때 이번 총선에서 야권연대는 불가피합니다.
그러나 야권연대는 불가피한 경우에만 해야지, 그것을 반드시 해야 하는 것처럼 여기며 일각에서처럼 미덕으로까지 격상시켜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야권연대가 불가피한 경우는 민주통합당 후보와 통합진보당 후보가 둘 다 진보적으로 여겨져 표가 분산됨으로써 새누리당만 좋은 일 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일 것입니다. 이럴 때조차 야권연대를 위해 투쟁을 희생시키거나 야권연대에 투쟁을 종속시켜서는 안 되겠죠.
그런데 이런 우려가 전혀 없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민주통합당에 보수적이고 친기업적인 후보들이 많고 심지어 새누리당과 구별하기 힘든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민주통합당이 이런 인물들을 공천하는 바람에 지지율이 다시 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처럼 민주통합당 후보가 전혀 진보적이지 않은 경우에 후보단일화를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을 합쳐도 새누리당을 누르기 어려운 곳이나, 야권단일화를 하지 않아도 새누리당이 이길 가능성이 없는 호남 같은 곳에서도 후보단일화를 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진보적 원칙과 가치에 근거해 야권연대가 불가피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잘 판단해 주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