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생각한다:
이제 군부의 반혁명 시도에 맞서야 한다
〈노동자 연대〉 구독
이집트에서 대통령 무르시가 유례없는 대규모 시위 끝에 쫓겨났다.
그러나 군부가 무르시 퇴진 이후 주도권을 쥐려는 상황에는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군부는 이집트 혁명을 압살하려는 장본인이고 무르시와 그 일당을 모두 합한 것보다 더 큰 적이기 때문이다.
이집트 군부는 1952년에 집권한 이래 노동자·민중을 억압적으로 지배해 왔다. 군부는 이집트 경제의 20~40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주요한 자본가 집단이기도 하다. 군 장성과 그 일가족은 지난 정권들이 밀어붙인 신자유주의 민영화로 가장 이득을 본 자들이기도 하다. 한 마디로 군부는 이집트 자본주의의 핵심 부위다.
군부는 이집트인 5명 중 2명이 하루에 2달러 안팎으로 생활할 때 막대한 부와 권력을 누렸다. 또한 군부는 2011년에 무바라크 정권을 지키려고, 이후에는 민간에 권력을 넘기지 않으려고 거듭 시위대를 탄압·학살했다. 또한 미국과 이스라엘을 위해 자국민을 ‘테러리스트’라 부르며 살해하는 짓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군부는 “빵과 자유, 사회 정의”를 요구하는 혁명의 불길을 꺼트리려고 호시탐탐 노린다. 이번에도 군부는 노동자들이 총파업을 하겠다고 나서자 혁명이 더 급진화하는 것을 막으려고 무르시를 체포하며 ‘꼬리 자르기’를 시도한 것이다.
꼬리 자르기
게다가 미국은 중동 패권을 지키려고 수십 년 동안 이집트 군부를 지원해 왔다. 지금 오바마는 이집트 민주주의를 위하는 척 말하지만 완전히 역겨운 위선이다.
혁명을 지속하는 이집트인들은 군부의 과거를 결코 잊지 않았다. 그럼에도 지금 일시적으로 군부에 대한 기대가 커진 것은, 주요 야권연합인 구국전선이 오래전부터 군부 쿠데타를 공개적으로 종용해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과거 무바라크 정권의 잔당들과 엘 바라데이 등 자유주의 명망가들이 주축이 된 구국전선의 주요 상층부는 이집트 자본주의를 그대로 둔 채 권력을 차지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이들은 무슬림형제단 못지 않게 노동자 파업과 대중행동을 두려워 한다. 군부는 이런 약점을 이용하려 할 것이다.
또한 군부는 무슬림형제단과 이슬람주의자들을 단속한다는 빌미로 억압과 폭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좌파와 노동자 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결국 군부는 결정적 기회가 왔다고 판단되면 노골적 반혁명을 시도할 것이다. 1917년 러시아 혁명 때 코르닐로프의 쿠데타 시도와 1973년 칠레에서 피노체트* 쿠데타가 바로 그 사례다. 따라서 혁명가들은 무슬림형제단을 비롯해 이슬람주의자들을 체포하거나 그들의 신문과 방송을 폐쇄시키려는 것에 반대해야 한다.
이미 무르시를 끌어내린 지 일주일이 채 안 됐는데도 군부는 시위대에 발포해 수십 명을 학살했다. “이집트 장성들은 칠레의 피노체트처럼 해야 한다”(〈월스트리트저널〉) 하는 지배계급의 충고를 충실히 따르려는 것이다.
군부와 자유주의자들이 전면에 등장한 것은 이들의 실체를 폭로하고 일관된 혁명적 대안을 제시할 세력이 아직 충분히 강력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집트의 혁명적 세력은 노동자 운동이 부활한 2006년 이래 꾸준히 성장해 왔고, 2011년 혁명 이후에는 빠르게 세력과 영향력을 키워 왔다.
그러나 빠르게 발전하는 현실은 이집트 혁명가들의 어깨에 무거운 과제를 제시한다. 이집트 혁명가들은 무르시 퇴진을 기뻐할 뿐 아니라 군부에 맞선 결전을 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