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서비스 노동자 투쟁:
삼성이 교섭에 나오고, 생활임금 지급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삼성전자서비스 노동자들이
지난 7월 노동자들이 노조로 단결하기 시작한 지 두 달도 안 돼 조합원이 1천6백 명으로 늘어났다.
삼성전자서비스 노동자들이 대규모로 조직되고 투쟁하는 것은 최근 사회적 쟁점이 된 간접고용의 폐해와 그에 맞선 일련의 저항 흐름과 맞닿아 있다.
현대차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부터 최근에는 티브로드 노동자들의 저항까지, 제조업 사내하청에서 시작해 공공서비스를 거쳐 민간 유통업체와 대규모 서비스 산업으로 간접고용 노동자들의 저항이 확대돼 왔다.
무노조 경영을 고수하는 악질적인 삼성은 노조 탄압뿐 아니라 부패, 의료
여기에 그동안 누적된 삼성전자서비스 노동자들의 불만과 분노가 결합되면서 투쟁으로 분출한 것이다.
삼성전자서비스 노조는 이전의 삼성 내 민주노조 결성 시도와 비교했을 때 상당수 현장 노동자들을 조직하는 데 성공했다.
삼성의 무노조 경영에 파열구를 낸 삼성전자서비스 노동자들의 투쟁은 삼성처럼 악랄하고 막강한 기업에 맞서서 투쟁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줬다.
그러나 그냥 물러설 삼성이 아니다. 자존심을 구긴 삼성은 성수기가 끝나자 악랄한 보복에 나섰다. 삼성 경영진들은 조합원들의 일감을 빼앗아 가고 표적 감사를 실시하며 노조 탈퇴를 종용했다.
집중적이고 교묘한 탄압에 발빠른 대응이 시급했다. 삼성의 탄압으로 일부 조합원들이 탈퇴했고, 동요하는 조합원들도 생겼다. 투쟁에 앞장선 노동자들은 집중적으로 탄압을 받았다. 고

발빠른
그러나 삼성은 삼성전자서비스 노조를 조기에 와해시키지 못했고, 조합원들의 투지를 꺾지도 못했다.
최종범 열사의 사망 이후 연대가 확대됐다.
작은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통영센터에서는 조합원들에게 떼먹은 장거리 수당 2천6백만 원을 협력업체 사장이 돌려주기도 했다.
그러나
그러면서 삼성전자서비스 사장 박상범은 11월 13일 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의 간담회에서
이런 노동조건 개선이 실제로 이뤄진다면 명백한 성과일 것이다.
그러나 이조차 노동자들의 요구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삼성전자서비스 노동자들은
삼성은 삼성전자서비스 센터별 임단협 교섭을 경총에게 위임해 놓고 있다. 경총은 몇 개월째 교섭을 지연해 오다, 어처구니없게도
삼성전자서비스지회는 내년 초에 쟁의권을 확보한다. 삼성은 내년 3~4월 하청업체 사장들과의 재계약 기간에 맞춰 탄압에 나설 것 같다. 연대가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