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
국가 통제주의 교육 강화 시도에 반대해야
〈노동자 연대〉 구독
교육부는 2월 13일 발표한
전교조는 2월 22일 전국대의원대회에서 이렇게 결의했다.
정부와 우익은 교학사 교과서를 제외한 다른 한국사 교과서들이 모두 좌편향이므로 국가가 공인하는
또한, 2017년부터 한국사를 수능에서 필수화하며 교학사 교과서 논란을

가치중립?
그러나 국정제가 학습 부담을 경감시킨다는 말은 거짓이다. 학생들은 입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엄청난 학습에 시달린다. 실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걱정이라면 국정제로의 회귀가 아니라 고교서열체제와 대학서열체제를 해체하고 현행 입시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국정제는 일제 군국주의와 유신체제의 산물이다. 일제 식민통치 하에서 초등학교 국사, 즉 일본사 교과서는 단일 국정 교과서였다. 그러던 것이 유신체제 때, 중학교 국사교과서도 국정제로 바뀌었다. 1972년 10월유신 이후 박정희 정권은
역사학계를 비롯해 진보진영은 국사교과서의 국정화는 곧 국가의 획일주의적 역사 교육 통제라고 비판하며 국정제를 분명하게 반대했다. 1988년에 창립한 역사교사모임은 역사 교사들이 스스로 왜곡된 역사교육의 하수인 역할을 해 왔음을 자기 비판하며 창립됐다.
현 검정과정에서도 교육과정과 교과서 집필 기준, 검정 심의 기준이 있어 역사 해석의 폭이 제한되고 있다. 만일 국정교과서 체제가 되면 역사 교사들과 학생들의 사고는 더욱 통제될 것이다. 한국사 교과서가 국정으로 전환된다면 다음은 사회, 도덕 교과서에 대한 통제로 이어질 것이다. 국가 통제주의 교육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는 당장 멈춰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