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조사로도 드러나다:
시간제 일자리는 누구도 원치 않는 저질 일자리
〈노동자 연대〉 구독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시간제 일자리는 지난해보다 10.1퍼센트 증가해, 2백 만 명을 훌쩍 넘어 섰다
시간제 일자리는 이명박, 박근혜 정부 들어 크게 늘었다. 박근혜 정부는
정부는 전체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촉진하고 동시에 낮은 여성의 고용률을 끌어 올리려 시간제 일자리 도입을 강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통계청 발표는 이런 정부 주장이 얼마나 터무니없는지를 보여 준다. 통계청 발표를 보면, 시간제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70만 5천 원이다. 시간제 노동자의 70퍼센트는 여성인데, 여성의 평균임금은 더 낮다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20시간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노동시간 평균은 이보다 훨씬 길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시간제 노동자들은 실제 계약한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일해야 한다. 가령, 초등학교에서 돌봄교실 전담사로 일하고 있는 강선자 씨는

홈플러스의
시간제 노동자들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10퍼센트대로, 비정규직 평균과 비교해도 절반 이상 낮다. 퇴직금, 상여금, 시간외 수당, 유급휴가를 받는 비율도 턱없이 낮다. 받더라도 일한 시간에 비례해 토막나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런데 정부나 기업주들은 이조차 거추장스럽게 여겨 초단기 계약, 쪼개기 계약 등을 강요해 왔다. 주 15시간 미만으로 계약한 노동자는 아무런 법적 보호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초중등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초단시간 계약 문제는 심각한 문제로 지적돼 왔다. 주당 15시간을 채우지 못하게 하려고 하루 출근시간을 10분 늦추거나 퇴근시간을 10분 당기는 방법으로 주당 노동시간을 14시간 50분으로 맞추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학교 현장의 초단시간 노동자 수는 박근혜 정부 들어 폭발적으로 늘었다.
최근 일부에서는 위탁 채용이 늘면서 시간제 노동자들의 처지가 더 열악해졌다.
시간제 초등돌봄전담사 강선자 씨는 8시간 전일제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시간제 일자리는 강요된 선택이다. 이번 통계청 조사는 정부가 양산한 시간제 일자리가 누구도 원치 않는 저질 일자리일 뿐임을 보여 준다.
그러나 시간제 일자리 문제는 일부 비정규직 부문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 칼끝은 정규직을 겨냥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간제 일자리가 대거 도입된 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