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2023~24년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단원고 교실 존치 요구 정당하다
세월호 참사 흔적 지우기 시도 중단하라

지난달 경기도교육청이 단원고 기억교실(2학년 교실 10곳, 교무실 1곳)을 치우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거센 반발에 부딪히자 경기도교육청은 유가족과 합의해 새로운 대안을 마련할 때까지 당분간 교실을 이전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12월 11일 세월호 유가족들과 4·16교실 지키기 시민모임은 교실 보존을 요구하는 시민 1만 2천 명의 서명지를 경기도 교육청에 전달했다. 전교조도 교실 존치 요구 서명을 경기도 교육청에 전달했다.

꼭 돌아오라던 간절한 바람은 이뤄지지 못했다. 세월호 참사로 단원고 학생과 교사 2백61명이 희생됐다. 아직 미수습된 희생자들도 있다. 희생자들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단원고 교실은 기억과 추모의 공간이자 "잊지 않겠다"는 약속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미진

교실 존치 논란은 이미 지난해에도 한 차례 벌어진 바 있다. 당시 경기도교육청과 단원고 학교 당국이 교실을 치우려다가 유가족들과 생존 학생들의 항의를 받고는, 희생 학생들의 명예 졸업식 때까지는 교실을 보존하기로 합의한 것이다. 그런데 내년 1월 11일 세월호 참사 희생 단원고 학생들의 명예 졸업식과 신입생 배정 기간이 다가오면서 이 쟁점이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그간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당사자 간의 협의를 내세우며 책임을 한 발짝 피해 왔다. 이 과정에서 유가족들과 일부 재학생 학부모 사이에 갈등이 깊어졌다. 유가족들과 시민단체들의 항의가 이어지자 경기도교육청은 단원고 앞에 4·16민주시민교육관을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그러나 유가족들은 이 제안이 부지 확보와 예산 문제 등 어느 것 하나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유가족들과 희생 학생들의 동료들에게 단원고 교실은 희생 학생들의 흔적을 느낄 수 있는 기억과 추모의 공간이다. 희생 학생들의 삶의 흔적이고 국가의 구조 방기 속에 스러져 간 참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미수습 희생 학생들과 교사들도 남아 있다. 특히나 유가족들로서는 진상 규명이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 학생들의 공간마저 없애려는 시도가 참사 흔적 지우기로 느껴지는 것이 당연하다.

주제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