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희생학생 제적 처리 항의 농성 현장 취재:
“사망 신고도 못한 우리 아이, 제적 처리로 두 번 죽인 셈”
〈노동자 연대〉 구독
세월호 참사 희생학생들을 제적 처리한 것이 뒤늦게 알려져 공분이 일고 있다. 수십 명의 유가족들이 일방적 제적 처리에 대한 원상 복구와 책임자의 사과를 요구하며 단원고 본관 앞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제적 처리 사실은 5월 9일 한 유가족이 우연히 희생학생의 생활기록부를 발급받으려다 밝혀졌다. 이제까지 유가족들은 이런 사실에 대해 학교 측으로부터 일언반구 듣지도 못한 상황이었다. 명예졸업식 운운하던 학교 측이 알고 보니 제적처리를 일방적으로 진행했다는 사실에 대한 분노가 이는 것이 당연했다. 유가족들은
더군다나 이날은 단원고 희생학생들이 사용하던
희생학생들이 수학여행을 가기 직전까지 머물렀던 곳이자 세월호 참사의 아픔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그런데 협약식을 불과 사흘 앞두고 5월 6일 연휴기간을 틈타 단원고 당국이 유가족들 몰래’

유가족들의 항의가 거세지고 경기지역 교사들이 교육청 앞 농성을 시작하는 등 여론이 들끓자, 이재정 교육감은 11일 오후 공식적으로
담당자들이


오후 7시가 넘어서야 유가족들 앞에 모습을 보인 단원고 정광윤 교장의 태도도 다른 책임자들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심지어 교장실 안에 숨어 있던 교장을 본지 기자와 한 유가족이 발견해 어쩔 수 없이 교장실 밖으로 나와야 했다. 이 자리에서 정광윤 교장은 자신은 3월에 부임해 인수인계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며 책임회피로 일관했다. 유가족들의 항의가 거세지자 적반하장으로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유가족들은 재학생들 사이에서도



진상 규명은 뒷전이고 행정 처리만 앞세워
이날 이재정 교육감이 뒤늦게 학적 원상복구를 공식 약속했지만, 이는 의지만 있었다면 얼마든지 희생학생들의 학적을 유지하는 일이 가능했음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했다. 이미 학교 곳곳에서 유가족들이 이재정 교육감을 규탄하는 팻말들이 붙어 있다. 이재정 교육감이 직접 와서 사과해야 한다는 요구도 높다.
또한 경기도교육청과 단원고 당국 모두 충분한 협의 없이
희생학생들의 모교가 지난 2년간 진상규명에 힘을 보태기는커녕 거듭해서 기억과 흔적을 지우는 일에 앞장선 것에 유가족들은 울분을 삼키며 참아 왔다. 유가족들은 단원고 당국과 경기도교육청은 이번 사태에 사과하고 관련자들을 징계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또한 교실 이전 시기와 방법에 대한 분명한 합의와 약속 이행이 있을 때까지 농성을 유지할 계획이다. 지지와 연대도 호소하고 있다.
학교 당국과 교육청의 이런 어이없고 뻔뻔한 결정은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지우기 시도와 결코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박근혜는 총선 패배 이후에도 특조위 활동 보장에
한편, 이날 특조위 이석태 위원장이 농성장을 방문했다. 한 유가족은 이석태 위원장에게 조사 사건이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특조위 활동이 6월로 종료되는 것을 우려한다고 밝히며 3차 청문회가 속히 열리길 바란다고 전했다. 박근혜 정부의 특조위 강제 종료 시도와 세월호 지우기 시도에 맞서는 목소리가 확대돼 단원고 내에서 벌어진 세월호 참사 흔적 지우기 같은 일들이 다시는 벌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