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외교·국방 정책:
진보·좌파가 ‘문재인, 잘하라’ 응원할 때가 아니다
〈노동자 연대〉 구독
문재인 정부는 노무현 집권기에 견줘 훨씬 더 어려운 대외환경에 처해 있다. 먼저 이 점을 살펴봐야 한다. 2008년 세계 공황 이후 경제 침체가 장기화한 가운데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의 경쟁은 계속 점증해 왔다.
트럼프 정부의 등장은 동아시아에서 불확실성을 더 키운 요인이 됐다. 취임 직후 트럼프는 국방비 10퍼센트 증액안을 내놓으며 군비 증강에 박차를 가했다. 증액분만 해도 한국 국방예산보다, 북한 GDP
올봄에 트럼프의 군국주의는 한반도 전쟁 위기설이 돌 만큼 긴장을 일으켰다. 북한
사드 배치 외에도 트럼프는 한국의 MD

현재 트럼프가 대선 때보다는 중국을 향해 덜 위압적으로 말하지만, 머지않아 미
러시아도 동북아에서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과거 북한과 일본을 오가던 북한 여객선 만경봉 호가 이제 북한 라선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정기 운항한다. 미국의 안보 전문 정보분석업체
북
한·미 정상회담 반대
이런 상황에서 문재인이 집권했다.
한동안 망설일 테지만, 결국 성주에 들어온 사드 배치를 인정할 것이다. 문재인의 대미 특사 홍석현은 미국에 가 사드 배치의 절차적 정당성이 결여됐다고 설명했지만, 동시에
자유한국당 등 우파들이 사드 배치의 국회 비준을 강하게 반대하지만, 설사 국회 비준 동의 절차를 밟더라도 이는 배치를 사후 정당화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노무현 정부 때도, 평택미군기지 확장과 이라크 파병 모두 국회 비준을 거쳐 노무현이 실행한 배신 행위였다.
유엔에서
대일 특사 문희상은
문재인은 남북관계 개선 의지를 밝혔지만,
게다가 문재인은 미국 특사단을 만나
서재정 일본 국제기독교대 교수도 문재인이 미국과의 합의로 대북 정책 면에서
경고
진보
근래 한국 정부의 친미 외교
서울에서 주요 진보 단체들은 여러 쟁점에서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사드 반대 운동 내에서 굳건한 행동 통일을 하지 못했다.

그러나 위기와 함께, 기회도 다시 찾아올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대외정책은 좌우 양쪽에서 불만족스러워하게 될 것이다. 때로 남북 대화나 교류
따라서 진보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제국주의론이 주는 가장 중요한 정치적 결론은 제국주의 문제의 해결이 노동계급의 자력 해방을 고무하는 데 있다는 것이다. 그 잠재력이 미래에 실현될 가능성은 분명 있다. 따라서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앞서 설명한 중장기적 전망 하에 지정학적 갈등이 낳을 이데올로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