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가 ‘역시’로:
네이버 뉴스 배치 조작이 밝혀지다
〈노동자 연대〉 구독
네이버가 뉴스 배치를 조작한 것이 드러났다. 네이버는 축구협회의 청탁을 받고 축구협회를 비판한 기사를 삭제해 줬다. 당시 프로축구연맹 홍보팀장은 네이버 이사에게
이 문자만 봐도 뉴스 배치 조작이 처음이 아니라는 의심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부정한 커넥션이 과연 축구협회 기사에만 작동했을까?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포털 사이트를 이용해 뉴스에 접근한다. 인터넷 뉴스 시장에서 네이버와 다음이 차지하는 비중은 78퍼센트에 이른다.
네이버는 직원들이 하루 평균 200건 가량의 기사를 모바일 메인과 PC 뉴스면 메인에 노출하는 편집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로 이 과정에서 포털 사이트들이 자본과 정치 권력의 압력을 받아 뉴스 배치를 조작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몇 가지 사건이 이런 의혹을 키웠다.
올해 7월 박영수 특검이 공개한 일명
특검은
박근혜 정부가 포털에 압력을 넣어 여론에 개입하려 한 정황도 드러났다. 이른바 청와대 캐비닛 문건을 보면, 2015년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 이병기는 적극적인 여론전을 지시했다.
카카오톡 자동 검색 기능이
동시에 박근혜 정부는
네이버와 다음 두 포털 사는 정부의 외압 의혹을 줄곧 부정해 왔다.
그러나 다음카카오가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박근혜 정부에게 순순히 넘겨 왔다는 사실이 2014년 드러난 바 있다. 개인들의 대화내용까지 경찰에 넘긴 것은 포털 사들이 권력에 무릎 꿇은 극명한 사례였다.
지난해 12월에는 네이버와 다음이, 정부가 요청하면
그러니 2007년 새누리당 의원 진성호가
이런 일들을 보면, 온라인 댓글을 여론의 지표로 삼는 것이 왜 부적절한지도 잘 알 수 있다.
이 와중에 네이버 부사장 윤영찬은 문재인 대선 캠프에 합류해 SNS본부장을 거쳐 현재 청와대 홍보수석이 됐다. 정치 권력과 포털 사의 관계는 결코 불가근불가원이 아닌 것이다.
기울어진 운동장
인터넷을 통해 정보가 수평적으로 전달되고, 이를 통해 민주주의가 확장될 수 있다는 환상이 일각에 있었다.
그러나 포털 사들이 진입을 허용하지 않으면 정보 전달조차 쉽지 않다. 2013년 정부 기관이 조사한 것에 따르면 등록돼 운영되고 있는 인터넷신문 중에서 네이버, 다음, 네이트와 뉴스 공급 제휴를 맺고 있는 언론사는 7퍼센트에 불과하다.
〈노동자 연대〉는 네이버에 뉴스 검색 제휴
모든 언론이 주관성을 배제하고 똑같은 사실만 보도한다면 여러 매체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사실은 그런 일이 현실에서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매체의 존재가 정당화되는 것이다.
같은 현상을 두고도 어떤
그러므로 부와 권력이 기울어진 운동장인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불편부당한 사실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좋은 언론을 판단할 때, 기준은 주장의 과다 여부가 아니다. 오히려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피착취
그러므로 주장 과다와 수용성 운운한 네이버의 〈노동자 연대〉 뉴스 검색 제휴 거절 사유는 노동계급의 시각을 표방한 언론 매체를 거부한다는 뜻일 뿐이다.
반대로 강성우익 언론사인 〈뉴데일리〉와 〈데일리안〉은 네이버 뉴스스탠드
정부와 체제에 비판적인 언론들이 차별을 당해 온 셈이다. 왜 그럴까? 포털 사의 연 매출이 수조 원을 넘어서고, 이 중 광고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사실은 포털 사가 그 자체로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일 뿐아니라, 다른 기업들과도 긴밀한 관계 속에 놓여 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새로운 부문에 진출해 몸집을 불리려 하는 포털 사들의 처지는 왜 이들이 정치 권력과의 관계를 중시하는지를 설명해 준다. 정부와 뒤에서 만나거나 문재인 정부 하에서처럼 정부 요직에 참가하거나 말이다.
온라인 공간도 중립은커녕 현실의 권력 관계가 직간접적으로 반영된다. 이것은 언론의 형태가 무엇이든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