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제2의 중국으로 급부상할까?
〈노동자 연대〉 구독
미·중 무역전쟁으로 세계경제의 침체가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인도 경제는 올 1분기 7.7퍼센트, 2분기 8.2퍼센트라는 고성장을 기록했다.
최근 인도 경제는 미·중 무역전쟁의 직접적 영향권에서 벗어나 있을 뿐 아니라 약간의 어부지리를 누리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 관세를 인상하자 관세 폭탄을 피하려고 생산 기지를 인도로 옮기는 기업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 경제의 고성장을 이끌었다고 하는 ‘모디노믹스’는 강력한 경기부양책과 다양한 친기업적 규제 완화 정책이다. 모디 총리는 기업들에게 규제를 풀어 주고 지원을 늘리는 정책을 추진한 덕분에 인도 내수에 기반을 둔 일부 기업들이 혜택을 보고 있다.
모디 총리는 2016년 부패 척결을 이유로 각 주마다 다른 상품서비스세(부가가치세에 해당)를 하나로 개편하고 같은 해 11월에는 화폐 개혁을 추진했다. 또한 자동차, 바이오, 철도 등 제조업 25개 부문을 집중 육성하는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을 추진했고, 인프라 건설에 외국인 투자를 허용하는 등 규제 완화를 실시했다.
그 덕분에 인도의 외국인 직접 투자 규모는 지난해 421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였는데, 올해 그 기록이 깨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가 뉴델리 인근 노이다 공업단지에 인도 최대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세웠고, 대만 폭스콘도 50억 달러를 투자해 휴대전화 부품에서 완제품까지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처럼 인도 경제가 대규모 경기부양책과 외국인 투자로 고성장을 보였지만 내수에 기반해 고성장을 계속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잠재적 불안 요소
인도 경제가 가파르게 성장하고는 있지만, 경상수지 적자 상태라는 점은 불안 요소이다.
2년 전 인도의 경상수지 적자는 GDP의 0.6퍼센트였지만, 올해는 2.6퍼센트로 늘어날 전망이다. 2분기에만 경상수지 적자가 158억 달러로 GDP의 2.4퍼센트에 이른다. 경상수지 적자는 외환보유액을 줄인다.
현재로선 인도의 외환보유액이 4000억 달러에 달해 국가 파산 가능성이 낮을지라도 경상수지 적자 때문에 외환보유액은 급격히 줄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타격을 입을 신흥국 명단에 터키,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남아공 등과 함께 인도가 늘 거론된다.
게다가 올해와 내년 선거를 앞두고 모디 총리와 각 주지사들은 재정 지출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인도의 재정적자는 GDP 대비 6퍼센트 대에서 올해는 7퍼센트로 늘어날 전망이다.
경상수지·재정수지 적자는 루피화 가치 하락과 유가 급등으로 나타나면 인도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올해만 루피화 가치가 14퍼센트 하락했다. 루피화 가치 하락은 국내외 자본이 인도에서 빠져나가게 할 것이고, 부채 부담을 늘릴 것이다. 그런데 외환 전문가들은 루피화가 향후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루피화 약세는 소비량의 80퍼센트를 수입에 의존하는 원유 수입 비용을 높인다. 올해 말까지 원유 1배럴당 가격은 70달러 이하로 떨어지지 않을 전망이고, 미국의 이란 제재가 강화되면 8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 이럴 경우 인도의 원유 수입 비용은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유가 급등은 전국에서 대규모 시위를 촉발했다.
9월 10일 국민회의당(INC)을 주축으로 한 22개 야당은 모디 총리를 비판하며 파업과 시위를 이끌었다. 같은 날 벵갈루루 지역에서 인도사회주의자연맹 소속 노동자들이 유가 상승과 민생 악화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일부 주에서는 유가 인상으로 학교, 상점, 버스 회사 등이 문을 닫았다.
시위자들은 모디 정부가 유가 상승과 루피화 가치 급락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종합하면, 인도 경제는 경기부양 정책의 결과로 일자리 증대, 외국 자본 유입 등이 나타났지만, 동시에 경상수지·재정수지 적자, 루피화 폭락 등 경제 불안 요소들도 공존한다.
인도 인구가 13억 명이고, 그중 상당수가 25세 이하의 젊은 노동자들이라는 점은 분명 인도 경제에 활력을 주는 요소일 것이다.
하지만 세계 자본주의가 2008년의 장기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리고 미·중 무역전쟁이 세계경제를 강하게 짓누르는 상황에서 인도 경제가 나홀로 호황을 누릴 수는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