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비리 척결의 날 대행진:
학생·노동자 500명이 학교의 비리를 규탄하다
〈노동자 연대〉 구독

오늘 6월 12일 정오, 고려대학교 민주광장에서 학생 약 400명과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 고려대분회 소속 청소
참가자들은 집회 규모가 큰 것에 고무됐다. 기말고사가 코앞이지만 요구안을 모두 쟁취하고 시험 공부를 하겠다는 학생도 있었다. 다들 밝은 표정으로 힘차게 구호를 외쳤다.
수업을 듣던 학생들도 수업이 끝나자마자 달려와 집회에 결합했다. 인문계 캠퍼스와 이공계 캠퍼스
회계 비리
지난 5월 7일 교육부의 회계 감사 결과가 발표됐다. 학교와 재단의 비리 22건이 적발됐다.
회계 감사 결과 발표 직후 총학생회와 단과대 학생회들을 중심으로 항의 집회가 매주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총학생회는 10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10대 요구안은 회계 투명성 강화, 학생 참여 예산 재정 확대, 노동권 보장 등의 내용이었다. 노동권 보장은 학내 청소 노동자와 시간강사의 노동조건을 개선하라는 것이었다.
5월 20일 거의 모든 단과대 학생회와 학생들 100여 명이 집회에 참가하고, 이 10대 요구안을 학교 측에 전달했다. 총학생회에 따르면, 그 뒤에 열린 면담에서 학교 측은 모든 요구를 거부했다. 심지어
그러나 6월 2일 열린 임시 전체학생대표자회의
6월 12일 집회가 학생과 학내 노동자가 함께하는 대규모 집회가 된 것은 전학대회가 학생과 학내 노동자의 단결을 유지하고 기층의 요구를 반영해 요구안을 확대하기로 결정한 덕분인 듯하다.
이 날 집회에 참가한 학생들은 학교 측이 학생들의 요구에 묵묵부답인 것에 분노했다. 등록금을 내는 학생들이 학교를 바꾸자고 주장했다.
연좌
학생 대표자들은 전학대회에서 결정된 12대 요구안을 들고 학생처장과의 면담에 들어갔다. 그러는 동안 학생 수백 명은 면담 장소인 본관에서 연좌에 들어갔다. 학생들은 면담이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키며 계속해서 자유발언을 하고 구호를 외쳤다.

학생처장은 면담 초반에는
면담 종료 후 학생처장은 연좌하고 있는 학생들 앞에 나와
뻣뻣하게 굴던 학교 측이 이 정도 약속을 한 것은, 면담 결과를 보고한 부총학회장의 말처럼
그러나 학생 대표자들과의 면담에 나온 학교 측 인사는 학생처장뿐이어서 위의 약속도 관련 부처장들과의 논의가 필요하다. 앞으로의 면담 과정에서 나머지 요구들도 성취해야 한다. 12대 요구안은 전체학생총회 다음의 위상을 가진 학생 의사결정 기구인 전학대회에서 결정된 것이므로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된다. 또, 그동안의 경험을 보면, 학교 측은 스스로 한 약속조차 어기기 일쑤였다.
경계심을 늦추지 말고 필요할 때 바로 항의를 모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