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테러 위협을 빌미로 한 억압 강화에 반대하라

이 기사를 읽기 전에 다음 기사를 읽으시오.
파병 연장은 참사를 부를 수 있다

9·11 이후 부시와 블레어는 ‘테러 위협’을 빌미로 ‘애국자법’이나 ‘반테러법’을 만들어 자국 내에서 정치적·시민적 권리에 대한 억압을 강화해 왔다. 한국에서도 김대중 정부 이후 ‘테러방지법’ 제정 노력이 지속됐다. 이 법은 “제2의 국가보안법”이라고들 부른다.

중요한 것은 이런 종류의 ‘반테러’ 법률들이 반전 운동을 비롯한 피억압 민중의 다양한 운동을 겨냥하고 있다는 점이다. 부시가 ‘애국자법’을 만들 때 참고한 영국의 ‘테러리즘법 2000’은 테러리즘을 지나치게 광범하게 정의한다.

“[테러리즘]은 ‘공공이나 공공의 일부에 영향을 미치거나 협박하기 위한[행동]’과 ‘정치·종교·이데올로기적 대의’를 성취하기 위한 행동에까지 확장돼야 한다.”

이 점은 일찍이 트로츠키도 지적한 바 있다. “[우리 계급의 적들은] 그들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활동들을 모두 테러리즘이라고 낙인찍기를 즐겨한다.”

한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이 점은 매우 분명하다. 지난해 노무현 정부가 이주노동자들을 탄압할 때 사용한 근거 중 하나는 그들이 ‘테러리스트’라는 것이었다. 심지어 파업을 앞두고 있던 공무원노조의 집회에 대해 당시 행자부장관 허성관은 “테러 위협” 운운하며 불법 행동을 엄단하겠다고 말했다.

최근의 런던 폭탄 테러 이후 한국 정부는 세 가지 차원에서 국내 억압을 강화하려 한다.

첫 번째는 테러방지법 제정 움직임이다. 런던 테러 이후 열린우리당의 조성태와 한나라당의 서병수, 신임 국정원장 김승규 등은 테러방지법 제정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두 번째는 이주노동자 공격이다. 한나라당 정형근은 “이란·시리아·수단·쿠바 등 미국이 테러지원국으로 분류한 나라 국적 소유자 2천4백 명 중 4백 명이 불법 체류자”라며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을 잠재적 테러리스트로 몰고 있다.

세 번째는 부시 방한과 아펙 정상회의에 항의하는 운동에 대한 공격이다. 정형근은 “이라크에 많은 병력을 파병중인 미국·일본·호주·한국 등 4개국 정상이 함께 참석할 부산 아펙 정상회의가 알카에다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경고했다.

부시 방한과 아펙에 반대하는 투쟁이 가까워질수록 지배자들의 이데올로기적 공격과 물리적 공격 ― 경찰력 강화, 시위 금지 ― 이 집중되고 강화될 수 있다.

노무현 정부는 ‘테러 위협’을 빌미로 부시와 아펙에 반대하는 운동을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 이에 맞선 가장 효과적인 대응은 더 큰 11월 저항을 건설하는 것이다.

이 기사와 함께 다음 기사를 읽으시오.
11월 반부시 저항과 파병연장 반대 투쟁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