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은 ‘실험용 쥐’가 아니다:
정부는 등교 개학 방침 즉각 철회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등교 개학을 코앞에 두고 우려하던 일이 벌어졌다.
5월 초 황금연휴 기간에 이태원 클럽 방문자를 시작으로 집단 감염이 발생한 것이다. 인구가 밀집된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산과 제주까지 전국에 퍼져 순식간에 감염자가 80명을 넘어섰다.
이미 여러 방역 전문가들이 이런 상황을 예견하고 경고해 왔다. 그러나 정부는 총선이 끝나자마자 이런 경고를 무시하고
그럼에도 문재인 대통령은 5월 10일 취임 3주년 연설에서
그간 독감 유행 패턴을 보더라도 학교가 바이러스 확산의 매개지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아이들 사이에 감염이 확산되면 가족 내 감염으로 이어지고 일터로, 지역으로 번져 나갔다.
코로나19 위험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등교 개학을 강행하는 것은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것이 아니다. 개별 학교와 교사에게 방역 책임을 떠넘기고, 이윤을 지키는 데 혈안이 돼 경제를
그래서 정부가 등교 개학 방침을 발표했을 때부터 학생
정부의 학교 방역 대책이라는 것들도 미흡하기 짝이 없다.
대도시를 비롯해 상당수 지역의 학교들은 학급당 학생 수가 30명을 웃돈다. 2미터는커녕 고작 몇십 센티미터 거리 두기도 힘들다. 수백 명이 생활하는 학교에서 보건교사 1~2명이 방역을 전부 책임져야 한다. 집단 급식의 위험성도 만만치 않다. 또, 교육부 대책은 현재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 한정돼 있다. 그러나 상당수 확진자가 무증상이었다는 것을 보면, 이 정도로 집단 감염을 막는 데는 역부족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전교조가 정부의 등교 개학 방침을 지지하고,
안전과 건강을 우선한 방역
2020년 5월 11일
노동자연대 교사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