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회민주당이 민주노동당의 협력 대상인가
〈노동자 연대〉 구독
지난 8월 23일 김혜경 대표, 권영길
민주노동당은 지난 2000년부터 조선사회민주당과의 협력을 추구해 왔다. 이번 방북에서도 양당간의
그러나 조선사회민주당은 역사적으로 조선노동당의
조선사회민주당의 모체인 조선민주당은 1945년 11월 3일 조만식에 의해 창당됐다. 조만식은 평안도 지방의 기독교인들과 지주
당시 소련은 민족주의자가 자국의 이해관계에 충실하기만 하다면 별 문제 삼지 않았다. 사실, 조선민주당 창당 자체가 소련의 권유에 따른 것이기도 했다.
조만식은 조선민주당 창립대회에서
당시 조선민주당 부당수 최용건은 비공개
그러나 조선민주당이 1946년 1월 2일 중앙위원회에서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은 조선민주당과의 협력에 심각한 균열이 발생하자 소련군과의 협의 아래 조선민주당 무력화 작업에 나섰다.
그리고 1946년 2월에 열린 조선민주당 비상전당대회에서 김일성의 오른팔격인 최용건이 위원장이 됐다.
또, 최용건은 1955년 4월 조선노동당에 입당해 중앙위원회 정치위원이 됐고, 그 해 12월에는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
최용건은 조선민주당 당원들을 조선노동당으로 이적시키는 등 당 조직 해체 작업에 나섰다. 이후 조선민주당은 지방조직이 와해되고 중앙조직만이 남게 됐다. 있으나마나 한
조선민주당이
당명 개편은 대외적 요인을 고려해서였다.
조선노동당은 조선사회민주당을 활용해 대외 관계의 폭을 넓히고 서방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려 했다. 특히 조선노동당의 대남 관련 기구로 활용했다. 조선사회민주당 위원장 김영대는 범민련 북측본부 부의장과 민화협 회장이기도 하다.
북한에서
현재
사실상 조선노동당과 조선사회민주당을 구별하기는 어렵다. 민주노동당이 이런 관제 야당과 협력 관계를 맺을 어떤 이유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