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기자들, “더는 ‘법무부 기관지’ 비아냥 듣고 싶지 않다”
〈노동자 연대〉 구독
〈한겨레〉 신문 기자 41명이 1월 26일 집단 성명
성명서에서 기자들은
이들에 따르면 지난해 12월에도 〈한겨레〉 편집팀이
〈한겨레〉 기자들이 데스크의 정부 감싸기 논조를 비판하며 항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9년 9월에도 기자 31명은
그로부터 넉달 뒤에는 편집팀 19명이 성명을 내 다시 한 번 편집국장 자진사퇴를 요구하며 항의했다. 편집팀은 조국 불구속 기소를 다룬 기사의 제목이 검찰과 조국 모두를 비판하는 것에서 검찰만을 비판하는 뉘앙스로 바뀌었다고 폭로했었다.
그동안 〈한겨레〉는 종종 문재인 정부의 말뿐인 개혁을 부풀리거나 에두르는 비판을 해 왔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 〈한겨레〉 출신 기자 여럿이 정부 기관 요직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의 개혁 배신과 치부 감추기 시도가 계속되고 이에 따른 환멸이 커지는 때에 데스크의 친정부적 행태는 스스로 진보를 표방해 온 기자들의 양심과 불만을 자극했을 법하다. 일각에서는 해당 기자들이 형식적 공정성에 사로잡혔고, 진보적 가치를 추구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항의 성명을 비난한다. 물론 오랫동안 우파 정권의 편에 서서 왜곡 보도를 해 온 조중동 같은 보수지들이 이번 성명을 부각해 보도하는 것은 매스꺼운 일이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진보를 참칭하는 세력일 뿐이고, 가짜 진보를 감싸는 것은 사회 진보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한겨레〉 기자들의 항의는 정당하다.
〈한겨레〉 기자들의 성명 전문
〈한겨레〉는 지난 2019년 9월
〈한겨레〉는 문재인 정권의 법무부에 유독 관대했습니다.
현장 분위기와 전혀 다른 무리한 기사 계획이 편집회의 과정에서 만들어져 일방적으로 찍어 내려진 경우도 많았습니다. 법원이 검찰총장 직무배재 집행정지 신청을 인용한 다음 날인 12월2일
같은 날 편집부에서도
무리한 편 들기는 오보로 이어졌습니다.
최근 불거진
현재 법조 기사들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쓰여지고 있습니다. 그에 따른 부끄러움과 책임은 온전히 현장 기자의 몫으로 돌아오고 있습니다. 〈한겨레〉가 어쩌다가
국장단의 어설픈 정권 감싸기와 모호한 판단으로
이에 〈한겨레〉현장 기자들은 국장단과 사회부장, 법조팀장이 해당 기사와 사설에 대한 경위를 밝힌 뒤 그에 따른 합당한 책임을 지고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책 마련에 나설 것을 요구합니다. 탁상공론을 넘어, 현장 기자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특정 정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