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아펙반대 부시반대 국민행동 김어진 선전홍보팀장
아펙반대 부시반대 부산시민행동 현정길 집행위원장
〈노동자 연대〉 구독
아펙반대 부시반대 국민행동 김어진 선전홍보팀장 인터뷰
이번
성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약 3만여 명이 부시 반대, 아펙 반대라는 매우 정치적인 슬로건으로 뭉쳐 싸운 반전
물론 이 제안이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노동자와 농민, 청년
11월 18일 각 부문 집회를 끝낸 대열들이 다양한 반부시
지난 11월 초 아르헨티나의 반부시 시위의 바통을 한국의 부산이 이어받은 것이죠.
전국의 거의 대부분의 좌파 활동가들이 부산 동원에 어떤 방식으로든 연루된 것도 성과입니다.
여러 운동이 파편화하던 최근의 상황을 떠올린다면 반부시
이번 투쟁은 반전
이번 시위의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 필요한 활동들은 무엇일까요?
자본주의적 기구에 반대하는 운동은 단지 그 기구가 벌이는 회의를 봉쇄하거나 항의하는 투쟁만이 아닙니다. 그 기구가 내거는 목표와 정책에 반대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벌여야 하는 것이지요.
따라서 조지 W 부시의 이라크 점령 정책에 반대하고 파병 연장에 반대하는 투쟁을 계속 벌어 나가야 하고 신자유주의적 정책들에도 반대하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벌여 나가야 할 것입니다.
아펙반대부시반대 부산시민행동 현정길 집행위원장 인터뷰
우리가 시민행동을 결성한 지는 반 년 정도 됐습니다.
지금 다소 후회되는 것은 아펙을 유치한다고 할 때부터 대응했더라면 더 좋았을 걸 하는 생각입니다. 정부와 부산시가 여론전을 참 많이 했습니다. 반대 여론을 만드는 데서 시기를 놓친 감이 없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정말 전야제와 부문 결의대회와 범국민대회는 힘있게 진행됐습니다.
시민행동도 최선을 다했습니다. 부산 동지들 정말 최선을 다했습니다.
성과는 부산 지역의 동지들한테는 꽤 큽니다. 부산이라는 지역 운동이 세계적인 투쟁을 할 수 있을까 우려했지만 무사히 끝냈습니다. 부산 지역의 민중 운동에서는 커다란 경험이었습니다.
무엇보다 국제연대 투쟁이나 세계화에 대응하는 투쟁의 수준이 우리 내에서 높아졌다는 게 성과입니다.
이 성과를 바탕으로 WTO 각료회의에 반대하는 투쟁으로 나가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