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윤석열 퇴진 운동 2023~24년 팔레스타인 투쟁과 중동 트럼프 2기 이주민·난민 우크라이나 전쟁

민주노동당의 대선 도전:
민중참여 경선제가 더 많은 지지를 받으려면

민중경선제에 대한 논쟁이 한창이다. 민주노동당의 대선 도전이 성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논쟁하는 것은 필요하고 중요하다.

그동안 진보진영 선거연합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주창해 온 ‘다함께’는 민중경선제의 기본 취지에 공감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이를 민주노동당 후보 선출 방법에 대한 논의로만 제한하지 말고 더 폭넓은 진보진영 단결을 위한 논의로 발전시키자고 주장해 왔다. 그 방식도 훨씬 개방적이고 유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점에서, 민중경선제 주장을 해당 행위로 몰아가는 흐름이 있는 듯해 아쉽고 안타깝다. 민주노총이 제안한 민중경선제가 ‘당의 정체성을 훼손하려는 특정 의견그룹의 음모’라고 매도하는 것은 토론에 아무 도움이 안 된다.

‘민중참여 경선제’로 민주노총 조합원과 전농 회원 등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은 민주노동당의 외연 확장과 성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은 일리가 있다.

그래서, “한나라당·열린우리당은 선거라고 야단법석을 떨고 언론의 조명도 받는데 정작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선거 때 손가락만 빨고 있게 해서는 안 된다”는 민주노총 이영희 정치위원장의 지적은 공감할 부분이 있다.

도전

다만, 민주노총 지도부가 ‘민중경선제는 현찰인 반면, 진보진영 선거연합은 실현 가능성이 별로 없는 어음’이라며 민중경선제와 진보진영 선거연합을 계속 대립시키는 것은 그다지 현명하지 않다.

민중경선제를 주장하는 민주노총 일부 지도자들은 진보진영 선거연합 추진 움직임을 두고 “집토끼가 뛰쳐나가게 생겼는데 산토끼만 쫓아다닌다”는 식으로 폄훼한다.

민중경선제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민주노동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 방침[을] 재고[하고] 당과 민주노총의 관계[를] 재정립”하겠다고 압박하는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지도부의 태도는 자유로운 토론과 논쟁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지나치다.

민중경선제로 민주노동당 후보를 선출한 뒤에야 진보대연합이 가능하다는 ‘텃밭’[우선]론은 실제로는 연합을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당원 5만여 명과 민주노총 조합원, 전농 회원 수십만 명이 선출한 민주노동당 후보와 대등하게 후보 단일화에 참여할 수 있는 진보 단체나 개인이 누가 있을까? 프랑스 대선에서 급진좌파들이 보여 주었듯이 어느 쪽이든 먼저 후보를 결정하고 나면 자체의 관성과 압력 때문에 후보 단일화 논의가 더 힘들어지게 마련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주류 정치권의 분열과 위기에서 비롯한 정치적 공백을 차지하려는 진취적·적극적 도전 자세이지, ‘집토끼’(기존 지지층)나 잘 챙기자는 보수적·소극적 자세가 아니다. ‘독재정권의 후예’나 ‘개혁 사기꾼’들이 ‘산토끼’(개혁 염원 대중)를 기만하고 유혹하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는 없는 일 아닌가.

주류 정치권의 위기와 한미FTA 반대 운동이 만들어 낸 정치적 기회를 활용하려는 유력한 방안인 진보진영 선거연합을 제대로 추진해 보지도 않고 ‘현행 선거법상 어려움’이나 ‘규약 개정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포기할 것인가. 도전해 보지도 않고 부정적 가능성만 계산하고 앉아 있어서는 지금처럼 정치적 역동성과 가변성이 큰 시기에 큰 성과를 얻을 수 없다.

다가오는 대선에서 진보진영과 민주노동당의 성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기여하겠다는 민주노총 지도부의 열의를 실현할 방법은 결코 막혀 있지 않다. 대선의 정치 지형을 급진화시킬 수 있는 한미FTA 반대 투쟁과 파업 건설에 적극 나서면서, 이것의 정치적 표현체인 진보진영 선거연합 추진의 주체가 되려는 슬기로운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더 큰 그림과 목적 하에서 민중경선제가 찬반 논의와 투표에 붙여진다면 ‘다함께’는 찜찜한 기분으로가 아니라 매우 흔쾌한 마음으로 그것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메일 구독, 앱과 알림 설치
‘아침에 읽는 〈노동자 연대〉’
매일 아침 7시 30분에 보내 드립니다.
앱과 알림을 설치하면 기사를
빠짐없이 받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