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은 남북 국경을 넘는데 민중은 왜 안 되는가
〈노동자 연대〉 구독
일부 우익 탈북자 단체들과 달리 대다수 평범한 탈북자들은 이번 남북 정상회담을 환영했다. 한 탈북자의 말처럼
그러나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남북한 자유왕래 같은 의제는 충분히 다뤄지지 못했고, 그러는 사이에도 탈북자들의 목숨 건 탈출 시도와 탄압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사건이 벌어졌다.
지난 9일 탈북자 4명이 베이징 한국국제학교에 진입했다. 이들은 옥상까지 추격해 온 중국 공안에 폭력 연행됐다. 최근 중국 정부는 베이징 올림픽 준비를 명분으로 탈북자 단속을 강화하려 한다. 이미 탈북자 10만 명을 색출해 강제 북송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고 한다.
남한 정부는 중국 공안이 한국 외교관을 폭행한 것에는 항의했지만, 동시에
그러나 통일을 지향하며 남북관계를 개선하고자 한다는 정부의 말이 사실이라면, 남으로 오고자 하는 북의 인민을 냉혹하게 외면하는 것은 완전한 모순이다. 분단 때문에 오도가도 못했던 남북한 민중이 서로 자유롭게 교류
진보진영 일각에서도 탈북자 수용이 남북 화해와 관계개선을 훼손시킨다고 주장한다. 북한 체제 비방 효과를 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남북 교류와 협력을 정권 차원의 일로만 협소하게 이해한 소치다.
실제로 노태우 정권의 7. 7선언
탈북자들의 대다수는 평범하고 가난한 북한의 노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