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평
〈노동자 연대〉 구독
영화평 - 〈마이너리티 리포트〉
미래 세계의 범죄 예방
정건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블록버스터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인기리에 상영중이다. 이 영화의 원작은 범죄를 저지르기도 전에 미래의 범인을 체포하는 SF소설이다.
톰 크루즈는 서기 2054년 워싱턴 D.C의 형사 존 앤더튼을 연기한다. 앤더튼은 특수경찰반 프리크라임(Precrime)의 반장이다. 그와 동료들은 세 명의 예지자들의 도움을 받아 살인이 일어나기 전에 미래의 살인범을 체포한다. 그래서 미국의 수도는 살인 사건이 사라진다. 그러나 살인을 저지른 사람이 아니라 저지를 사람들을 체포한다. 게다가 체포한 뒤에는 재판도 없이 끔찍한 상태로 감금한다.
앤더튼 자신이 ‘살인 예정범’으로 지목될 때까지 이런 문제는 무시된다. 영화는 이제 무고한 한 남자가 경찰의 포위망을 뚫고 자신의 결백을 입증하는 고전적인 헐리우드 내용으로 흐른다.
영화 내내 우리는 미래 세계를 구경할 수 있다. 도심 곳곳의 광고판들은 행인들의 망막을 스캔해 개인 정보를 파악하고 이름을 부르면서 맞춤 광고로 유혹한다. 여기저기서 끝없이 망막이 스캔된다. 그래서 수배자는 불법으로 타인의 눈을 이식해야 체포를 면할 수 있다.
경찰들은 앤더튼을 잡기 위해 빈민가를 뒤진다. 빈민가는 앤더튼이 살며 일하는 첨단의 도심과 대조된다. 그 곳에는 첨단 테크놀로지가 없다. 경찰들은 미래의 경찰 거미로봇들을 풀어놓는다. 이 로봇들은 건물 안 곳곳을 기어 다니며 사람들을 찾아내고 망막을 스캔해 신분을 확인한다.
이 모든 것들은 미래 세계의 범죄 예방 시스템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미국도 비슷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법무부와 FBI는 테러를 저지를 것 같은 사람들을 감금하고 있다. 다른 점은 지금 FBI에게는 세 명의 예지자들이 없다는 점이다. FBI는 피부색과 출신 국가를 보고 미래의 테러범들을 지목한다.
스필버그는 부시의 “테러리즘과의 전쟁”을 지지한다고 선언한 바 있다. 그러나 스필버그의 의도가 무엇이든 그리고 허점 투성이의 줄거리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중반부까지 미래에 대한 암울한 전망을 유지한다. 난데없이 하늘에서 내려온 경찰들이 한 개인의 삶을 송두리째 가두는 장면들은 조지 오웰의 《1984년》을 떠오르게 한다. 생각이나 무의식까지 범죄가 되는 사법 제도는 두개골 넓이만큼의 자유도 용납하지 않는 셈이다. 그래서 영화 속 2054년 미국의 프리크라임과 현실의 2002년 한국의 국가보안법이 기막히게 닮았다.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과학기술의 진보는 부유한 세계에 한정된다. 가난한 사람들의 삶에는 미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가난한 사람들을 감시하는 일이다. 여기에는 첨단 테크놀로지가 동원된다. 과연 이것이 미래일까?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노동자들을 감시하느라 인터넷 감시, CCTV, 휴대폰 위치 정보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다른 SF 영화들처럼 〈마이너리티 리포트〉 역시 오늘날의 세계를 반영한다. 그러나 큰 기대는 말라. SF 영화는 대개 함축적이라 여러 해석이 가능하지만 현실에서 스필버그는 부시를 두둔했고 줄거리도 꼭 〈미션 임파서블〉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