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에 대한 당 입장은 강령 정신을 위반했는가?
미국 책임 우선적 비판은 옳았다
〈노동자 연대〉 구독
심상정 비대위의 북핵 관련
그래서
물론 진보는 원칙적으로 북한 핵을 포함한 모든 핵무기에 반대해야 마땅하다. 하지만 북한이 세계 평화 또는 동북아 평화의 위협 세력이라는 미국과 남한 정부의 위선에 부하뇌동해서는 안 된다. 미국은 2002년 북한을 이라크
부시 정부는 전술핵 무기의 사용을 공언해 왔고, 북한도 그 대상국이었다. 부시 정부는 9.11 테러 몇 달 뒤 의회에 제출한 〈핵태세보고서〉에서 북한을 미국의 잠재적인 핵 공격 목표로 지정했다. 비핵국에 대한 이 같은 위협은 명백한 핵확산금지조약
그래서 브루스 커밍스, 존 페퍼, 개번 맥코맥 같은 세계적인 북한 학자들도 미국의 압박이 북한의 핵개발을 부추겼다고 주장해 왔고, 심지어 보수적인 미국 민주당 정치인들도 부시의 강경 정책이 북한의 핵개발을 자극해 오히려 동북아를 불안정에 빠뜨렸다며 부시 정부의 대북 정책을
따라서 북한을 비난하거나 제재하거나 말리는 것은 진정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오직 미국의 전쟁 드라이브와 대북 압박을 중단시키는 것만이 동북아 평화를 보장하고 북한 핵 폐기를 유도할 수 있다.
만약 민주노동당이
예컨대 심상정 비대위는
북핵은 미국의 압박이 만들어낸 악몽
비대위는
2006년 10월 북한 핵실험 직후, 여러 논란 속에서 당의 입장 표명이 늦춰진 것은 분명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 사이에 당 지도부의 일원은
그리고 북한 국가의 처지가 아니라 한반도
하지만 국가 간 갈등이라는 면에서 보면
그러므로 당의 입장을 정하기 위한 토론 과정에서 편 주장을 해당 행위로 모는 것은 일종의 마녀사냥이다. 이렇게 되면 당의 공식 입장을 정하기 위한 토론은 말조심해야 한다는 압력으로 경색될 것이다.
늦게나마 당의 공식 입장으로 발표된
지도부의 일원이 또는 설령 지도부 다수가
그러므로 심상정 비대위는 당의 공식 입장이 문제였다고 에둘러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면, 오히려 당의 공식 입장이
북한 핵실험에 대한 당의 입장이
진보정치연구소가 2006년 11월 한길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한 여론조사의 결과를 보면, 북핵에 대한 민주노동당의 입장에 공감이 49.5퍼센트, 비공감이 39.7퍼센트였다. 질문은
어정쩡한 태도는 안 된다
지금은 일시적인 북미간 긴장 완화 국면이지만, 부시가 중동에 전념하기 위한 일시적 조치인 이 국면이 무한정 계속되지는 못할 것이다. 이미 상황은 교착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북핵 신고를 둘러싼 세 가지 논란 가운데 가령 플루토늄 양에 대한 것만 봐도 문제가 만만치 않다. 북한은 30킬로그램을 신고했고 미국은 20킬로그램이 적다는 것인데, 1994년 한반도 전쟁 위기는 이보다 적은 양의 플루토늄이 위기의 발단이 됐었다.
물론 미국이 중동에서 큰 어려움에 처해 있기 때문에 북미관계가 군사적 긴장 국면으로 치닫지는 않겠지만, 2002년부터 2006년처럼, 전쟁 위기로까지 가지는 않으면서도 갈등이 심화되는 국면이 다시 올 수 있다. 핵 신고 문제가 어렵사리 해결된다 해도 그 다음 사찰과 폐기를 둘러싸고는 더 큰 갈등이 빚어질 수 있다.
이럴 때 민주노동당은 누구를 비난하는 입장에 설 것인가? 심상정 비대위의
오늘날 거의 모든 세계인이 알고 있듯이 미국이 세계 제일의 깡패 국가이고, 무엇보다 남한 정부가 미국의 푸들을 자처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제국주의 비난에 압도적 강조점을 두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