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쟁 속에서 변한 나
〈노동자 연대〉 구독
저는 한성대 지부의 새내기 김보하입니다.
제가 이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지난 여름 살인 더위 속의 빡빡한 파업 현장에 참가하면서 파업을 통해 무엇을 배웠고 제 자신이 어떻게 변했는지 여러분께 말씀드리기 위해서입니다.
지난 7월 저는 민주노동당 학생 그룹 한성대 지부의 당원들을 만났고, 이 만남이 제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됐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넉 달 전의 나는 과연 어떤 모습으로 그리고 어떤 생각을 하며 살았는지 상상이 가지 않습니다.
저는 순진하게도 우리 나라 경제와 정치는 교과서대로 움직이는 줄만 알았습니다. 물론 신문이나 TV를 보면서 4.13총선이나 옷로비 사건, 매향리 사건 등에 화가 나기도 했지만 정부가 알아서 처리를 잘 하는 줄 알았지요. 그런데 진실을 접하고는 머리 속이 혼란스럽고 복잡했습니다.
김대중 정부는 뭔가 다를 줄 알았는데 노동자들과 직접 대화도 해보고 무더운 여름날 땀을 흘려가며 집회에 참여한 결과 이전 정권과 별로 다를 게 없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알게 됐습니다.
그리고 우리 나라는 민주주의 국가인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민중의 지팡이라는 경찰이 힘없는 노동자, 임신부, 장애인도 팹니까? 이것은 여러분들이 경험해 보셔서 알 것입니다. 정말 우리 나라 교과서에는 고칠 내용이 많지 않습니까?
저는 노동자들의 커다란 파업의 힘을 느꼈습니다. 저는 롯데 파업 집회에 나가서 김대중 정권의 진짜 모습을 보고는 화가 났습니다. 그래서 롯데 불매운동과 집회에 열심히 참여했습니다. 만나는 친구들에게
그리고 열심히 투쟁한 결과 롯데 파업이 승리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저는 소식을 듣자마자 바로 선배에게 전화를 걸어 진짜냐고 몇 번이고 물어 보았죠. 그리고 친구들에게 바로 문자 보냈습니다.
그리고 스위스 그랜드 호텔 노조 일일 호프 때 노동자와 얘기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말을 듣고 아르바이트냐 노동자와의 대화냐를 고민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기회가 아니면 언제 노동자들과 얘기하겠냐는 생각으로 과감하게 아르바이트를 포기했습니다.
저는 당원 선배들을 졸라서 빨리 노동자와 얘기하고 싶다고 했지요. 한 스위스그랜드 호텔 노조원과 얘기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는데 그 노조원에게
최진욱 동지의 영결식 때 저는 아침 일찍 미용실에 가서 제 노랑 머리를 과감하게 검정색으로 염색했습니다. 돌아가신 분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했죠. 미용실에서 속으로 저는
하지만 사회자의 울음과 노래를 듣자 저는 가슴이 아팠습니다. 그 분과 혈연도 친분도 없는 제가 왜 눈물이 나왔을까요? 그 분을 동지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 못된 정부 때문에 왜 그 분이 떠나야 합니까? 우리는 꼭 최진욱 동지를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저는 롯데
이제는 집회에 나가는 것이 너무 자연스럽고 흥분되기까지 합니다. 제가 비록 한 사람에 불과하지만 제가 학생 그룹에 있지 않으면 안 된다는 강한 소속감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집회에 가면 제일 좋은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여러분들의 열기를 느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앞으로도 열심히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파업에 참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