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편지
영화 <야스쿠니> ― 일본 제국주의의 현황을 폭로하다
〈노동자 연대〉 구독
지난 8월 6일 한국에서 개봉한 〈야스쿠니〉는 일본 제국주의의 소름끼치는 과거와 현재를 담담하게 폭로하고 있다. 이 영화는 일본의 현 집권당인 자민당 의원이 제작진에 압력을 넣고 극우 단체들이 상영 방해를 하고 감독을 죽이겠다고 협박했지만 일본에서 13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관람했다.
야스쿠니 신사는 몇 년 전 고이즈미 전 일본 총리가
애초에 신사는 일본의 왕이나 유명인사가 죽으면 그를 신으로 모시는 일본 민간신앙
제2차세계대전 이후 일본에 주둔하게 된 미군은 일본 제국주의를 제어하려고 야스쿠니 신사를 일개 종교법인으로 만들고, 일본 왕에게 자신이 인간이라고 선언하게 했으며, 정교분리 원칙을 적용했다. 그러나 한국전쟁 때문에 미국은 일본에 자유를 줄 수밖에 없었고, 이후에는 북한
그 와중에 일본 정부는 1960년대 말부터 야스쿠니 신사를 다시 국가가 관리하려고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1978년에는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육군의 최고지도자 도조 히데키 등 A급 전범 14명의 위패를 야스쿠니에 합사했다. 현재 야스쿠니에는 심지어 40만 명이 넘는 중국인이 죽은
이렇듯 야스쿠니 신사는 평화의 상징이라며 하얀 비둘기를 잔뜩 키우고 있지만 역겨울 정도로 그 실상은 평화와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이곳에는 심지어 태평양전쟁 당시
한편, 일본 지배계급이 야스쿠니 신사 문제를 어떻게 대하는지는 영화의 한 장면에서 잘 드러난다. 한 일본 청년이 야스쿠니 신사 안에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아래로부터의 국제적 연대가 필요하다. 〈야스쿠니〉의 감독은 한중일 3국의 평화적 해결을 원한다고 했지만, 일본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할 생각이 전혀 없다. 필요할 때만 야스쿠니 문제를 규탄하는 중국이나 한국 지배계급도 각각 현재 위구르
- 영화는 8월 16일까지 서울 종로구 미로스페이스, 부산 국도 예술관에서, 8월 19일까지 중구 중앙시네마에서 상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