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광고와 대중 소비 사회》
〈노동자 연대〉 구독
《광고와 대중 소비 사회》, 스튜어트 유엔, 나남
1997년에 우리 나라 광고 시장의 규모는 약 5조 3천7백69억 원이었다. 하루 평균 자그마치 1백47억 원이 광고비에 쓰인 셈이다. 이 얼마나 낭비인가! 1997년은 IMF 위기로 기업이 대량 해고 계획을 쏟아 내던 때였다.
광고비가 일자리를 늘리거나 교육 의료 서비스 개선에 쓰인다면 얼마나 많은 것을 할 수 있을까? 그러나 광고는 기업주들에게는 전혀 낭비가 아닐 뿐더러 없어서는 안 될 장치다. 이 책 《광고와 대중 소비 사회》는 광고가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낸 1920년대 미국의 상황을 통해 왜 기업주들이 그토록 광고에 집착하는지를 분석한다.
이 책의 장점은 광고를 주제로 한 수많은 책들이 전혀 알아채지 못하고 있는 근본적 물음들을 제기하는데 있다.
광고는 왜 생겼는가? 광고는 소비자에게 유용한가? 광고는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도와주는 정보를 제공하는가? 광고는 진실인가? 광고는 중립적인가?
저자는 광고를 산업 사회
1부
2부
특히 저자가 광고와 노동자 통제를 연결시켜 광고의 등장 배경을 설명하는 것을 신선하다. 저자는
저자는 광고의 가장 큰 기능이 사람들의 소망을 조작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광고는 생산 현장에서 겪는 좌절감, 사회 생활에서 불안감을 겪는 노동자에게
기업주들은 사회심리학자들을 고용해 소비에 저항하는 태도를 없애는 방안을 연구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조카이자 현대 상업 PR이론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에드워드 버네이즈는 모든 사람은 기계적으로 동일하다고 보고 여론을 조종할 수 있는
이 심리학자들은
소비 이데올로기는 사회 통제와 상품 유통의 필요성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전했다.
생산 영역에서 모든 통제권을 박탈당한 노동자 소비자가 소비 영역에서 소비자 주권을 구현할 수 있다는 생각은 미국 소비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이다. 소비자 운동의 핵심 약점은 기업주들이 광고를 통해 대중에게 주입하려는 생각, 즉 생산 영역과 소비 영역의 철저한 분리를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는 미국 노동 운동이 반자본주의적 성격에서 체제 내 개량으로 나아간 것이 기업주들이 이 시기 광고를 통해 전개한 끈질긴 이데올로기 캠페인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암시한다.
한 노련한 카피 라이터는 이렇게 충고한다.
한편 1920년대 소비경제학 분야에서
산업이 정해 놓은 소비 규범 중 하나인 패션 유행에 따르기를 거부하면 좋지 않은 결과가 있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광고는 돈 있는 사람의 소비를 부추기고, 돈 없는 사람들에게는 행복한 삶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