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1일, 노동자들의 분노를 보여 줘야
〈노동자 연대〉 구독
7월 9일 개최된 G20 공동대응 준비위원회(가칭) 워크숍(이 워크숍 취재기는 〈레프트21〉 온라인 www.ws.or.kr에서 볼 수 있다)에서 민주노총 이창근 정책국장은 “G20 서울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11월 11일로 전국노동자대회를 앞당겨야 한다는 주장이 민주노총 내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매우 반가운 소식이다. 사실, G20 정상회의가 끝난 후에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하면 G20 항의 운동은 소규모에 그칠 공산이 크다.
G20 경호특별법까지 발동해 G20 항의 운동을 억누르려는 이명박 정부의 위협 속에서 G20 항의 운동이 대규모로 조직되려면 민주노총 노동자들의 대규모 참가가 관건이다.
세계 주요 지배자들이 모여 노동자들에게 경제 위기의 책임을 떠넘기려는 것에 맞서 한국의 노동조합과 사회운동은 저항의 목소리를 전 세계에 보낼 책무가 있다.
캐나다 G20 정상회의 항의 운동에 참여한 정용건 민주노총 사무금융연맹 위원장은 “국제시민사회가 G20 한국 정상회의에 맞서 민주노총을 포함한 시민사회진영 전체가 단결해 대규모 저항 행동을 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금까지 G20 정상회의는 대규모 항의 운동에 부딪혔다. 2009년 4월 영국 런던 G20 정상회의 때는 3만 명이, 지난 6월 캐나다 토론토 G20 정상회의 때는 2만 5천 명이 더 나은 일자리, 환경, 사회 정의를 외쳤다.
한국 노동운동도 2000년 아셈 항의 투쟁, 2004년 세계경제포럼 반대 시위, 2005년 아펙 반대 투쟁에 노동자들이 대규모로 참가한 자랑스러운 전통이 있다. 이런 전통이 올해 11월에도 이어지길 기대한다.
또, 해마다 11월 노동자대회는 노동자 수만 명이 모여 당시 가장 뜨거운 사회·노동 현안에 대한 노동자 계급의 입장을 밝히고 위력을 과시하는 자리였다. 올 하반기 가장 뜨거운 쟁점 중 하나는 다름아닌 G20 정상회의다. G20 정상회의가 끝난 뒤 노동자대회를 개최한다면, 민주노총이 이 쟁점을 회피하는 모양새가 될 것이다.
그래서 민주노총이 9월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11월 11일로 결정하기를 바란다. 이것은 G20 항의 투쟁을 2010년 핵심 투쟁으로 선정한 김영훈 민주노총 지도부의 계획과도 부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