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신당 심상정 전 대표가 ‘문제적 발언’을 쏟아내며 ‘연합정치’ 행보를 재개했다.
심 전 대표는 11월 17일 민주당의 이른바 486 의원 모임인 ‘진보행동’ 출범식에 유일한 진보 정치인으로 참석해 “386세대”란 말 대신 “87세대”라는 표현을 쓰자며 공통점을 부각했다.
그는 11월 23일 부산 ‘진보광장’ 토론회에서 “나는 개혁세력에게 … ‘개혁세력이 진보 이슈를 먹어 버려라’고 얘기한다. 반면에 진보 세력에게는 ‘개혁세력의 힘을 먹어 버려라’고 얘기한다. 양쪽 다 성찰이 필요하다. 이렇게 좁혀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 전 대표가 했다는 “성찰”은 이렇다.
“용산, 비정규 집회 … 열심히 외치고, 농성하고 … 공허한 일이었다. 그들과 ‘함께 비를 맞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치는 비를 함께 맞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런 발상에 따라 그는 “야당 간 비정규직 문제 해결 위한 상설협의체를 제안”했다.
그래서 “개혁세력이 진보 이슈를 먹어버려라” 하는 말은 민주당이 비정규직 같은 이슈에 관심을 보여 연합의 명분을 만들어 달라는 말로 들린다.
그러나 근로자파견법과 비정규직 악법 등을 만들어 비정규직을 공격해 온 장본인인 민주당과 손잡고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은 무망한 일이다. 그것은 오히려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우리 편의 원칙을 후퇴시키고, 투쟁을 가로막을 수 있다.
아래로부터 투쟁이 “공허”하다며, 민주당과 협력해서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진하자는 그는 국가기구의 위신과 권능을 인정하는 태도까지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 집권 3년 만에 상승[常勝]의 최정예 우리 군은 연전 연패의 당나라 군대가 되어 가고 있는 … 우려스런 현실”이라는 주장은 그의 이런 태도를 보여 준다.
국민참여당 참여정책연구원 부원장 노항래는 “이제 진보·개혁 진영이 이명박 정부의 ‘안보 무능’을 물고 늘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심 전 대표가 어떤 정치세력과 코드를 맞추고 있는지 보여 주는 것이다.
이것이 그가 “성찰”을 통해 민주당의 “87세대”와 차이를 “좁혀 나가”는 방식이다.
따라서 자신의 ‘연합정치’는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연합’이라는 심 전 대표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그는 스스로 진보의 가치에서 멀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연합정치’는 진보적 대의와 강령에서 후퇴하는 선거공학적 정계 개편 시도에 가깝다.
심 전 대표가 “공허”하다고 폄훼했지만, 용산 철거민들은 “열심히 외치고, 농성한” 덕분에 그나마 총리 사과와 생계 보장을 받아냈다. 최근에는 기륭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구호대로 “함께 비를 맞은” 사람들과 끈질기게 싸워서 승리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런 투쟁 속에서 자본가 야당과는 다른 진보적 대안을 건설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