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국외국어대학교(이하 외대)에서는 학교가 추진하고 있는 새로운 학칙개정안과 관련해 논란이 일고 있다. 개정안에서 학교는 서울과 용인 캠퍼스 간 인문사회계열 전공자 전과를 편입학 정원 15퍼센트 이내에서 허용하려 한다. 이전에는 동일캠퍼스 내에서만 전과가 가능했지만, 내년부터는 양 캠퍼스 간 전과도 가능해진다.
새로 당선한 ‘나비효과’ 총학생회와 대부분의 단과대 학생회장들은 서울캠퍼스 학생들의 수업권을 침해한다, 늘어나는 학생들을 수용할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새 학칙개정안을 반대하고 있다.
학교 당국은 캠퍼스 간 전과제도를 이용해 입시홍보 효과를 톡톡히 보려 할 것이다. 학교는 제대로 된 학생들의 의견 수렴조차 없이 입시홍보 자료에 이 내용을 실어 버렸는데, 학교가 이렇게 일방적으로 학사제도를 바꾼 것은 문제다.
또한 전과한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교수 충원과 강의실 확충 등을 하지 않은 채 이 제도를 시행한다면 서울 학생들이 피해를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캠퍼스 간 전과가 활발해지면 용인 캠퍼스 학생들에게 이익이다. 총학생회는 용인 학생들의 수업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는 방식의 해결책을 지지해야 한다. 특히, 캠퍼스 간 전과제도가 “학벌세탁”에 이용될 수 있다는 식의 학벌주의적 주장이 포함된 연서가 조직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과 허용 반대 주장은 지방 캠퍼스 학생들에 대한 차별에 동조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이것은 학생들 간의 단결에 해악적이다.
따라서 진보적 학생들은 전과 제도를 지지하면서 학교에 인프라 구축을 요구해야 한다.
전과제도에 반대하는 학생들은 이 제도가 향후 학과 통폐합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기도 하지만, 전과제도를 찬성한다고 해서 통폐합을 자동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지금 학생들 간의 단결을 해치는 방식을 지지하게 되면 향후 통폐합에 반대하는 투쟁을 할 때 불리한 조건에서 시작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