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중동 혁명의 성격과 방향 논쟁:
중동 민중 반란은 세계 자본주의 위기의 일부다

지금 중동의 민중 반란을 제3세계 또는 중동 국가들의 정치·경제적 낙후성에 주목해 이해하는 시각이 적지 않다. 일부 언론들은 이것을 중동 지역이나 독재 국가에서만 나타나는 특수한 현상으로 본다.

그러나 중동의 반란은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심화돼 식량과 원자재 가격이 폭등한 것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전체 국민 80퍼센트가 하루 2달러 미만으로 생활하는 튀니지와, 식비가 가계 예산의 60퍼센트를 차지하는 이집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의 노동자·민중의 삶이 전보다 훨씬 힘들어졌던 것이다. 한 경제 평론가는 “미국의 양적 완화가 유발한 인플레이션이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반정부 시위에 기폭제 구실”을 했다고 지적한다.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은 그래서, “현재 중동의 민주화 바람은 기본적으로 2008년 이후 세계경제 위기가 미치고 있는 파장과 영향권 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 또한 엄연한 진실이라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하고 지적했다. 즉, 북아프리카와 중동은 이런 국제적 자본주의의 약한 고리였던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자본주의의 세계적 위기와 이로 말미암은 인플레이션과 물가 폭등 때문에 다른 나라들의 노동자·민중의 삶 역시 갈수록 팍팍해진다는 것이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예측했던 누리엘 루비니는 1월 30일, ‘세계경제포럼’에서 “신흥국에 소비자 가격지수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식료품과 연료 가격의 급등은 중동에서처럼 정권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2월 23일에 인도 뉴델리에서 수십만 명이 물가 폭등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를 두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물가가 높아져 서민층의 생존이 위협당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했다.

홍콩, 싱가포르, 베트남에서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이 나라들의 정부는 물가 폭등으로 말미암은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재정 지출을 늘리는 중이다.

지난해 그리스·프랑스 등에서 벌어진 노동자 총파업과 지금 미국 위스콘신에서 벌어지는 공공부문 노동자 투쟁도 세계경제 위기에 따른 고통전가가 낳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요컨대, 비록 저항의 시기·형태·강도는 다를지라도, 현재의 세계경제 위기가 지속되는 한 언제 어디서든지 노동자·민중의 저항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