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대

전체 기사
노동자연대 단체
노동자연대TV
IST

쌍용차:
공기업화를 향한 끈질긴 투쟁 건설이 필요하다

최근 인도 기업 마힌드라가 쌍용차 인수 절차를 끝내고 신차 생산을 시작하면서 외형상 쌍용차가 정상화 된 듯 보이지만, 노동자들의 삶은 갈수록 궁지로 내몰리고 있다.

"노사합의 무시와 정리해고로 인한 죽음의 행렬, 얼마나 더 죽어야 합니까?" _ 2009년 쌍용차가 노동자들을 대량해고를 한 이후 지난 3년간 14명의 노동자 및 가족들이 죽음을 맞아야 했다. 도대체 얼마나 더 죽어야 하는가!

법정관리 기간 동안 쌍용차의 주인이었던 정부는 무급 휴직자를 1년 후에 복직시키겠다는 노사정 합의를 헌신짝처럼 내던졌다. 오히려 경찰과 회사 측, 심지어 보험 회사까지 가세해 노동자들에게 80억 원에 달하는 손배가압류를 퍼부었고, 해고의 충격과 생활고를 버티다 못해 목숨을 잃은 노동자와 가족 들이 벌써 14명에 달한다.

노동자 쥐어짜기로 일관하기는 마힌드라도 마찬가지다. 법정관리인이었다가 사장으로 재신임된 이유일은 복직 약속 이행은 고사하고, “불법 파업으로 회사에 손실을 끼친 직원(정리해고자)들의 재취업은 없”으며, 무급 휴직자의 복직 시기도 특정할 수 없다고 버티고 있다.

이런 가운데 3월 22일 시민사회단체들은 “쌍용차 해고자의 잇따른 죽음을 더 이상 방치하지 말고 국가가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공기업화로 정부가 고용을 보장하라’는 요구는 2009년 파업 당시만이 아니라, 앞으로 투쟁에서도 중요하다.

쌍용차의 새 주인 마힌드라가 2천4백억 원의 투자 계획을 냈지만, 이는 신규 투자가 아니라 쌍용차가 자체 조달하는 것이어서 벌써부터 비판이 나온다. 2005년 상하이차가 쌍용차 인수 후 투자를 축소하고 기술만 취득한 채 회사를 부도 위기로 내몬 악몽이 되풀이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다.

게다가 이 투쟁은 해고자들만의 과제도 아니다.

공장 안에 있는 노동자들도 작업 강도 강화에 따른 고통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노동자들은 장기적으로 공기업화를 통한 고용 보장 요구를 내걸고 끈질기게 공장 안팎의 연대 투쟁을 건설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