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편지
탈북자 인권을 외치며 노동자 파업을 비난하는 것은 위선이다
〈노동자 연대〉 구독
이제 막 스무살, 한창 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슬슬 뛰어들 준비를 하는 나이. 이 나이가 되어 필자가 처음으로 관심을 가진 것은 노동문제였다. 아직도 새파랗게 어리지만, 필자의 한참 어릴 적 경험과 궁금증을 토대로 노동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 취재하며 시간을 보내고 있다.
앉자마자 뉴스와 함께 트위터, 페이스북을 켜는 필자의 컴퓨터에 뜨는 숫자는 가히 경이롭다. 재능교육 노동자 투쟁 1500일, 고려대 시간강사 농성 1600일, 고려대 청소노동자 파업, 유성기업 파업, MBC노조 총파업, KBS 새조노 총파업, 쌍용차 노조 투쟁 1000일…. 이들은 무엇을 위해 이토록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는 것일까. 무엇을 위해 그토록 추위와 배고픔을 참아가며 서로 어깨를 부딪히고 노래를 부르는 걸까.
이들에 대한 세간의 시선은 매우 싸늘하다. 고려대 시간강사 천막 농성에 대해 고려대생들이 보인 반응은 분노를 넘어 허탈함을 주기까지 한다.
노동자들의 요구는 매우 간단하다.
부당한 회사의 공격에 항의해서 연대하여 파업을 일으키면 기업은 불법직장폐쇄
이뿐인가! 다른 노동자들을 위해 연대투쟁하면 그들을 향해서는
우리는 어째서 노동자들에게 연대해야 하는가. 우리는 어째서 노동자들을 지지해야 하는가?
지금이야 많이 누그러진 편이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다른 게 아니다. 당신이
그러므로 우리가
탈북자 인권 운운하는 우파의 위선
최근 중국이 탈북자들을
북송 저지 투쟁까지는 좋다. 그러나 보수 단체에서 들고 나오는 논리 중 해괴한 것이 있다.
필자는 묻고 싶다. 탈북자 인권을 외치는 당신들에게 과연 진정성이 있는가?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한 투쟁 현장에서 늘 비난을 쏟아내던 이들이 바로 당신들이 아니었던가?
불법 시위는 대개 조작되는 경우가 많다. 사측 임원, 혹은 어용노조 측이 정보를 입수하고 미리 집회 신고를 내어놓고 현장에 나가지 않으면, 해당 현장에서 투쟁하기 위해 나온 노조원들은
트위터의 흔한
필자가 하고 싶은 말은 이렇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자신을 한 번 돌아보길 바란다.
탈북자들의 북송을 저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들은 당장 생명이 경각에 달려있는 문제이니까. 그러나 진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