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광명성 3호 발사:
위선적 제재와 강경 대응 반대한다
〈노동자 연대〉 구독
이 신문을 제작하고 있는 현재
위성 운반체와 장거리 탄도미사일은 기술적으로 비슷하고, 북한 당국도 위성 발사 기술을 탄도미사일로 전용할 수 있다고 공공연히 밝혔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북한의 위성 발사를 두둔할 수 없다.
그러나 미국과 한국 등이 주도하는 북한 때리기에 동조할 수는 없다. 인공위성을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하는 데 앞장서 온 미국이 북한을 비난하는 것은 위선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도 북한과 마찬가지로 나로호 발사 경험을 탄도미사일 개발에 써 먹으려 한다.

미국은 인도가 4월 말에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시험을 한다는 소식을 알고도, 북한과는 달리 대처하고 있다. 인도는 미국의 대중국 포위 전략에 필요한 파트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이 북한 위성 발사에 유엔 안보리 소집과 추가 제재를 하겠다는 것은 명백한 이중 잣대다. 더구나 미국의 강경 대응은 사태를 더 악화시킬 것이다. 이전에도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핵실험 등 북한의 반발을 불러, 긴장을 더 높였을 뿐이다.
물론 미국은 이란 핵문제 등 중동에 여전히 깊이 개입해야 하며, 강경 대응 속에 북한의 핵무기 개발 능력이 미국의 통제를 벗어나는 것도 우려하는 처지다. 따라서 당분간 북한과 미국이 험악한 말들을 주고받겠지만, 이것이 당장 심각한 위기로 발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점에서 이명박 정권이 총선을 앞두고 북한의 핵실험을 기정사실화하면서 북풍 몰이에 안간힘을 쓴 것은, 한반도 긴장 고조를 간절히 기다리는 것처럼 보일 지경이다.
무엇보다 위성 발사에 대해 한
실제로 광명성 3호 발사에 대한 한
한국 정부도 요격을 준비하는 한편, 보수우익들은 한국군의 보유 장비로는 북한 로켓 요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MD 참여의 명분을 쌓고 있다.
한
이런 상황은 중미 갈등에 악영향을 미칠 게 분명하다. 최근 들어 중미 갈등의 발전 속도가 빨라졌다. 이것은
그래서 오바마 정부는 떠오르는 중국을 보며 불안감을 느끼는 아시아 국가들에게 파고들어, 기존 군사 동맹을 강화하는 한편 새롭게 동맹국을 늘리는 식으로 중국을 포위
‘악마화’
중미 갈등으로 한층 복잡해진 동아시아 정세는 한반도에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영향을 줬다.
먼저 미국은 기존의 한미 동맹을 확대
또한 미국은 북한을 계속
이번 사태는 단기적으로는 봉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중미 갈등과 한반도 문제의 관계를 고려해 본다면, 유사한 일들이 반복돼 장기적으로 긴장을 높여 갈 것이다.
따라서 북한이
또한 한국의 친제국주의 정책에도 반대해야 한다. 특히 제주 해군기지 건설은 아시아 MD 구상과 맞물려 있다. 이 점에서 민주통합당의 한계도 분명하다. 노무현 정부 때 이미 MD 시스템 구축을 위한 조처들이 시작됐고, 제주 해군기지 건설도 추진됐다. 이런 민주통합당과 전략적으로 동맹을 맺고 의존해서는, 반제국주의 운동을 제대로 건설할 수 없다.
우리는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막고, 한국이 MD에 참여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