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 여성이 죽지 않을 권리를 보장하라
〈노동자 연대〉 구독
7월 18일, 중국 동포 결혼 이주 여성 고 리선옥 씨와 고 김영분 씨를 추모하는 집회가 열렸다.
이 집회에 참가한 이주 여성들은
김영분 씨는 남편의 야만적인 폭력으로 4일간 뇌사 상태에 있다가 사망했고, 리선옥 씨는 남편이 휘두른 흉기에 찔려 살해됐다. 올해만 벌써 세 번째 참혹한 죽음이고, 2007년부터 알려진 것만 벌써 열 명의 여성이 이렇게 목숨을 잃었다.
두 여성은 지난 10여 년 동안 지속적인 남편의 폭력에 시달려 왔지만 어떤 도움도 받지 못했다. 리선옥 씨는 몇 차례나 경찰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심지어 사망 당일에도 경찰을 찾았으나 도움을 받지 못했고 경찰이 집으로 돌려보낸 직후에 칼에 찔려 죽었다.
김영분 씨의 고향 친구는 정부가
사실 정부는
이주 여성들은 폭력 남편에 맞서는 순간 한국에 체류할 수 없어진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안다.
이주 여성들은
우려스러운 일은 상황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정부는
우리는 정부의 이런 차별과 이주민 통제 강화, 이주 여성을 죽음으로 내모는 제도들에 맞서 싸워야 한다. 결혼 이주 여성들이 결혼과 동시에 국적이나 영주권을 받을 수 있어야 하고 가정 폭력 등으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제공돼야 한다.
지금 전국의 이주 여성 지원단체들을 비롯한 이주 운동 진영은 이번에는 쉽게 물러서지 않겠다고 벼르고 있다. 더는 이주 여성들이 비참한 죽음에 내몰리지 않도록 이 싸움에 지지와 연대를 보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