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준 교수의 《자본론》 연재 칼럼:
《자본론》에 담긴 혁명적 취지가 빠져 있다
〈노동자 연대〉 구독
부르주아 경제학은 세계경제 위기를 설명하는 데 완전히 실패했다. 이 끔찍한 세상에 대해 의문을 갖고 또 세상을 바꾸려는 사람들에게 마르크스의 《자본론》만큼 훌륭한 무기는 없다. 그 점에서 이 칼럼 연재 소식은 반가운 일이었다.
이 연재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마르크스와 《자본론》에 관심을 갖게 된다면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하지만 강신준 교수가 지금까지 쓴 칼럼은 안타깝게도 실망스럽다.
이 칼럼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강신준 교수가 자기 자신의 주장이 마치 마르크스의 주장인 것처럼 왜곡한다는 것이다.
강신준 교수는 먼저 자신은 마르크스와 같은 혁명가가 아니라 개혁주의자라는 사실을 알리려고 애쓴다. 이것은 그의 자유다. 그런데 자신의 신앙고백을 위해 마르크스를 왜곡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
그의 칼럼에서 주장한 수많은 내용들을 낱낱이 반박하지는 않겠다. 다만 그의 변증법과 유물론에 대한 조야한 이해와 주장이 마르크스의 것이 아니라는 점을 《자본론》 내용으로 논박하겠다.
강신준 교수는 그의 두 번째 칼럼에서 마르크스가 《자본론》에서 사용한 방법론인 변증법을 설명하며
그런데 강신준 교수가 칼럼에서 마르크스의 설명이라고 엉뚱하게 인용한 러시아 경제학자 카우프만은 《자본론》의 변증법에 대한 논문에서
사실 물리학
강신준 교수의 산수는 경제 법칙과 사회 법칙은커녕 물리학과 화학에도 적용될 수 없는 조야한 것으로 변증법이 아니다. 그런데 강신준 교수는 이런 조야한 주장이 마르크스의 변증법이라고 강변한다. 그는 마르크스가
변증법
마르크스가 쓴 《자본론》 서문의 해당 문단은 이렇게 시작한다.
그리고 이 문단 마지막은 변증법이 현존하는 것을 지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강신준 교수 같은 이들을 향해 벼락 같은 선언을 하며 끝난다.
세 번째 칼럼은 유물론에 관한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유물론이란
그러나 마르크스는 서문 첫 문장에서 《자본론》이 이전에 발표한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의 계속이라고 밝혔다.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에서 마르크스는 이렇게 썼다.
하지만 바로 이어 마르크스는 이렇게 썼다.
그런데 두 차례의 피비린내 나는 세계전쟁과 두 번째 경제대공황을 경험하는 지금 우리가 할 일이라곤 사과가 익어가듯 자본주의가 더 충분히 성숙해지기를 기다리는 일인가?
사실 지금의 자본주의는 당장에 사회주의로 바뀌더라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만큼
강신준 교수와 같이 《자본론》를 개혁주의 시각에서 독해하는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카우츠키 이후 사민주의자들에 의해 계속돼 온 것이다. 하지만 이런 개혁주의적 《자본론》 독해는 2007~2009년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반자본주의 운동이 고양되면서 조중동조차
마르크스는 자신의 사상을 왜곡하는 이들을 향해
몇 년 전 〈조선일보〉조차 계급투쟁이나 혁명을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라면 마르크스 경제학자가 서울대 교수를 해도 좋겠다고 썼다. 하지만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닌 마르크스 경제학자라도 마르크스의 《자본론》에 담긴 혁명적 취지는 훼손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