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유치가 희소식일까?
〈노동자 연대〉 구독
〈경향신문〉도
2009년 코펜하겐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합의문은 부자 나라가 가난한 나라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10~12년까지 3백억 달러를 지원하며 2020년까지 매년 1천억 달러를 지원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이것이 바로 녹색기후기금
이러한 결정을 내리기까지는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이런 과정에서 미국과 호주 등의 부자 나라의 반발에도 가까스로 출범한 녹색기후기금은, 하지만 제대로 실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우선 미국 등의 나라들이 녹색기후기금에 적극적이지 않다. 이들 국가는 중국과 인도 같은 중진국들에 증가하는 탄소 배출의 책임을 물으며 자신들의 역사적 책임에 대해서는 회피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2011년 더반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는 부자 국가들이 세계경제 위기와 성장 정체 등으로 합의한 기금 조성마저 거부하거나 낮추는 방향을 제시하는 등으로 기금 조성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구색 맞추기
사회 취약 계층을 위한 기금마저도 각국 정부의 이해관계와 특히 세계경제 상황에 따라 좌우되는 상황을 목격한 급진적 기후정의 운동은, 녹색기후기금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시하고 근본적으로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가 더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진정한 해결책을 내놓을 수 없음을 명확히 밝히고 아래로부터 민중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10년 4월 20~22일 볼리비아 코차밤바에서
우리에게는 국제사회의 미흡하고 미온적인 구색 맞추기식 해결책인 녹색기후기금이 아닌 국제 기후정의운동의 실질적이고 확실한 대안이 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녹색기후기금 사무국 유치가 아닌 급진적인 기후정의 운동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실천이다.
〈조선일보〉는
이명박 정권은 정권 초기에 그랬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