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의 노동 정책:
기업 횡포에는 ‘자율’, 노동자 저항에는 ‘엄단’
〈노동자 연대〉 구독
박근혜는 역대 가장 많은 노동자의 죽음과 고공 농성 속에서 취임했다. 대선 직후 노동자 7명이 목숨을 끊고, 곳곳에서 고공 농성이 이어졌지만, 박근혜는 묵묵부답이었다.
대선 기간 쌍용차 국정조사를 실시하겠다던 약속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고, 공무원노조 위원장 등이 해고된 데 이어
한진중공업 최강서 열사 유가족과 노동자들이 그토록 처절하게 피눈물로 호소하는데도 1백58억 원에 이르는 노조탄압용 손해배상 문제는 끝까지 철회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 문제가 빠진 모호한 합의문을 받고 노동자들은 눈물을 삼키며 열사를 땅에 묻어야 했다.
박근혜 정부의 노동정책은 이처럼 반노동자적이다. 박근혜가 노동자들의 요구에는 관심도 없다는 의미에서
실제로 박근혜 정부가 제시한 정책 기조는
고용 유연화
한편, 박근혜 정부는 핵심 국정과제로
그러나 기업주들의 탐욕을 제어하고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장해서가 아니라,
노동시간 단축은 2020년이 돼서야 OECD 평균 수준으로 만든다는 안일 뿐 아니라 탄력적 근로시간제와 근로시간저축계좌제 등을 도입해 유연성
정년연장 역시 임금피크제와 연동하고 있어서, 노동자들의 임금을 삭감하는 효과를 낼 것이다.
요컨대, 박근혜의 일자리 대책은 노동 유연화와 임금
최근 정부
경총도
1퍼센트 지배계급과 우파 기반 위에 서있는 박근혜 정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