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노조 탄압이 노리는 것
—
연금개악, 구조조정, 임금·수당 삭감, 시간제 공무원 도입
〈노동자 연대〉 구독
정부가
지난번 연금개악 때는 공무원노조가 발전위에 개입하는 바람에 제대로
그러한 대표적인
그뿐 아니라

2007년 국민연금을
문형표는 신자유주의 연금 개악의 선봉장답게 1억 원에 가까운 민간 연금에 가입해 있다. 이것이 바로 이 자가 꿈꾸는 미래다. 즉, 국가가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책임지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이 알아서 살 길을 찾는 것 말이다. 공무원연금뿐 아니라 모든 복지를 그렇게 만들고 싶어 할 것이다.
“공무원 기득권”
게다가 정부는 중앙부처 공무원 정원을 해마다 1퍼센트씩 줄이겠다며 공무원 정원도 줄이려 하고 있다. 총액인건비제 탓에 신규 채용이 제한돼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로 공무원들이 줄지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지 1년도 안 됐는데도 인력을 더 줄이겠다는 것이다.
일선에서
한편, 저임금의 질 낮은 일자리인 시간제 공무원 도입도 이제 국무회의 통과만 남겨두고 있다.
올 하반기 들어 내년 실질임금을 삭감하고 수당 통제를 강화하더니 공무원연금 개악 추진, 시간제 공무원 도입에 이어 인력 감축까지 진행하는, 그야말로
박근혜 정부는 공무원의 안정적 일자리와 공무원연금 등을 모두
시간제 일자리도 그렇다. 처음에는 공무원부터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지만, 공공부문에도 시간제 일자리를 강제 할당했다. 더 나아가 최근 삼성이 내년에 시간제 일자리로 6천 명을 채용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민간 기업에서도 시간제 일자리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 장관 문형표는
정부는
이간질과 탄압
이처럼 공무원과 공공부문 노동자를 공격하는 것은 전체 노동계급에게 경제 위기의 대가를 치르게 하기 위한 땅고르기다.
공무원과 공공부문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조건을 먼저 공격하는 것은 비교적 안정적인 일자리기 때문이다. 상시적 구조조정에 대한 위협과 불안한 노후 전망에 시달리는 민간 부문 노동자들의 불안감을 이용해 서로 이간질하려는 것이다.
기초연금 축소에 대한 불만을 공무원연금으로 돌리고, 반값등록금 공약 폐기에 대한 불만을 국공립대 공무원 수당으로 돌리고, 복지 예산 부족을 핑계로 공무원 임금을 삭감한다.
공무원
한편 정부는 경제 위기 고통전가를 손쉽게 하기 위해 노조 조직 자체도 공격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공무원노조의
한 일간지는 공무원노조를 연금 개악을 막는 장벽 가운데 하나로 언급했다. 실제로, 지난번에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을 모두 개악하려던 정부가 공무원연금 문제에서는 좌절했는데, 그 이유는 국민연금과 달리 공무원연금 대상자들은 노조로 단결해 조직적으로 저항했기 때문이다.
공무원노조는 불과 1년 전 조합원 5만 명이 모인 총회를 성사시키는 저력을 보여 주기도 했다. 그래서 정부는 공무원노조의
연금개악, 구조조정, 임금
기초연금·국민연금·공무원연금 개악의 쟁점
우리의 미래를 위한 투쟁과 대안

박천석, 장호종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