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7일 현대중공업노조의 잠정 합의가 부결됐다. 투표자의 66.5퍼센트인 약 1만 명이 반대했다.
이번 잠정 합의안에는 산재 예방·처리를 위한 작업중지권 보장 등 일부 성과가 있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노동자들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
많은 노동자들이 낮은 기본급 인상에 반대했다. 특히 최저 시급 수준의 열악한 기본급에 시달려 온 청년 노동자들의 반발이 컸다.
“겨우 이거 얻으려고 그동안 싸웠는지 모르겠습니다. 당연히 부결입니다.”
또 노동자들 사이에 경쟁을 강화하고 임금을 하락시키는 성과 연봉제를 철회시키지 못한 것도 문제였다.
사내하청 노동자에 대해서는 “처우 개선책을 마련토록 한다”고 합의했다. 하지만 이것을 두고도 ‘그간 친사측 노조가 해 온 공문구 합의와 무엇이 다르냐’는 비판이 나왔다.
그래서 활력 있는 청년 노동자들이 다수 모여 있는 ‘현장실천단’은 투표 전날부터 부결을 주장했다. 투표 당일에는 투표소 앞에서 팻말 시위를 벌였다.
이런 반대 여론과 활동 때문에 매우 많은 반대표가 나왔다.
지금까지 벌인 네 차례 부분 파업은 노동자들의 잠재력을 보여 줬다. 노동자들은 그 안에서 자신감을 얻고 조직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조선업 위기 속에서 사측의 양보를 강제하려면 투쟁 수위를 더 높여야 했다. 부분 파업을 벌여도 많은 정규직과 사내하청 노동자들이 일을 해서 사측의 타격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많은 노동자들도 새해에는 더 강력하게 싸우길 바랐다.
하지만 노조 지도부는 계속 주저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예고했던 2시간 파업 계획을 하루 전에 갑작스럽게 유보한 바 있다. 이후에도 사측이 전혀 양보하려고 하지 않았는데도 노조 지도부는 부분 파업을 더 띄엄띄엄 했다. 그러다 기대에 못 미치는 잠정 합의를 했다. 많은 노동자들이 이런 점에서 실망감을 느꼈다.
이것은 민주파 노조 지도부도 사측과 현장조합원 사이를 중재하며 투쟁보다는 협상을 중시하는 노조 관료주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제라도 노조 지도부는 현장 노동자들의 열망을 수용해 더 강력한 투쟁을 벌여야 한다. 그런데 일부 언론에 ‘추가적인 파업은 어렵다’는 노조 관계자의 말이 실린 것은 우려스럽다.
그래서 ‘현장실천단’이나 현장의 전투적인 노동자들이 더 강력하게 싸우자고 주장해야 한다. 다가올 대의원 선거에 전투적인 노동자들이 대거 진출해 투쟁의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 ‘현장실천단’이 말했듯이, “쟁대위[노조 지도부]가 현장 여론에 부응하지 못할 때 … 조합원들의 편에서 쟁대위를 견인할 필요”가 있다.